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가 장기화되면서 국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추석 연휴를 앞두고 119안전신고와 국가기록포털 등 핵심 시스템의 마비는 사회적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고 국민 불편을 신속히 해소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2일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주재로 중대본회의를 열어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 결과, 당일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의 시스템이 복구되어 서비스가 재개되었다. 특히,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 정상화는 긴 연휴를 앞두고 국민들의 안전과 재난 관리 측면에서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국가의 다양한 기록물을 제공하는 국가기록포털도 재가동을 시작하여 정보 접근성을 회복했다.
윤호중 중대본부장은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국가 행정전산망 장애로 인해 불편과 걱정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송구스러운 마음”을 표하며, “필수적인 행정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복구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는 등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인 하정우 씨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시간 단축 방안을 논의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인력도 복구 작업에 참여하여 안정성과 재발 방지를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국민들의 불편을 덜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과거에 사용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상담 서비스를 재개했다. 정부는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예비비를 투입하는 등 복구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스템이 정상화될 때까지는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부분은 적극 보완하여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윤호중 장관은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시설을 전수 점검하여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한,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실시간 복구 현황 공개와 대체 서비스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