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 세계적인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있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는 기존의 한류 현상에 새로운 차원을 더하며 문화 소비의 지평을 확장하고 있다. ‘케데헌’이 글로벌 미디어의 주목을 받으며 기록적인 흥행을 이어가는 배경에는, 단순한 오락 콘텐츠를 넘어선 분석적 의미가 담겨 있다. 이 작품은 글로벌 문화가 어떻게 로컬의 요소를 효과적으로 차용하고 재해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케데헌’은 원본에 대한 집착 없이 최고의 소통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동원된 캐릭터들의 매력을 통해 성공 가능성을 일찌감치 보여주었다. 특히, 넘어진 화분을 일으키는 데 정신이 팔려 임무를 잊어버리는 호랑이 더피와 같은 장면들은 한국 문화산업이 단독으로 제작했다면 실현하기 어려웠을 법한 독창성을 드러낸다. 이는 로컬의 콘텐츠가 어떻게 글로벌 무대에서 효과적으로 소통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교본과도 같은 장면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성공은 이미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공식 굿즈 매장 ‘뮷즈샵’에서 품절 사태를 일으켰던 까치 호랑이 배지가 다시 판매되는 현상과도 연결된다. ‘케데헌’을 비롯한 K-콘텐츠의 흥행과 여름방학 시즌이 맞물리면서 나타난 이러한 인기는 로컬 문화 요소에 대한 높아진 관심을 방증한다.
기존 한류가 한국 대중문화의 해외 인기를 중심으로 문화 간, 국가 간 소통과 동력을 의미했다면, ‘케데헌’은 한국이 직접 제작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뮬란’이나 ‘쿵푸팬더’와 같은 글로벌 문화가 로컬을 전용한 사례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케데헌’은 단순히 로컬 문화를 차용한 것을 넘어, 북미 지역의 한인 2세 원작자와 제작자들이 대거 참여했다는 점에서 애플 TV의 2022년작 ‘파친코’와 유사한 지점을 지닌다. ‘파친코’가 3대에 걸친 가족사를 실사 드라마로 구현하며 일제강점기 조선과 일본을 배경으로 한국 배우들을 기용했다면, ‘케데헌’은 한국 문화의 고유한 무속 서사와 현대적인 케이팝이라는 요소를 결합하여 서울의 상징적인 장소들을 배경으로 애니메이션 서사를 전개한다.
‘케데헌’의 서울 배경은 실사 드라마와 달리, 세트장에서 구현된 과거의 재현을 넘어 노스텔지어와 호기심을 자극하며 시청자들을 실제 서울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강력한 힘을 지닌다. 또한, ‘케데헌’이 개봉 초기에 디즈니의 가족용 뮤지컬 영화들과 비교되었던 점은 흥미롭다. ‘케데헌’의 반복 시청 욕구와 싱어롱(sing-along) 문화는 오랫동안 경쟁자가 없었던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삽입곡 시장에 새로운 대안이 등장했음을 시사한다.
‘케데헌’의 성공 요인 중 하나는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의 적극적인 활용이다. 소니는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 제작 기술을 ‘케데헌’에 적용하여 캐릭터들의 역동적인 움직임을 생생하게 구현했다. 제작진은 적극적인 시청자들이 수용의 즐거움을 극대화할 수 있는 텍스트 전략을 효과적으로 구사했으며, 디테일이 살아있는 일러스트레이션과 케이팝의 강력한 에너지를 성공적으로 접목했다. 특히 애니메이션이라는 표현 양식은 탈식민적 세계화의 장벽으로 작용했던 비서구인의 몸에 대한 인식을 벗어나게 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했다. 기존 케이팝이 ‘아이돌의 아시아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팬덤 영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다면, 애니메이션은 이러한 장벽을 낮추거나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인종주의적 복잡함 없이 전 세계 시청자들이 공감하고 코스프레하기 쉬운 캐릭터를 창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캐릭터 문화는 이미 플레이브나 이세계 아이돌과 같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 해외 투어를 진행할 정도로 케이팝 문화 내에서 진전된 상태이며, ‘케데헌’의 헌터스와 사자보이즈는 세계관을 갖춘 채 글로벌 케이팝 무대에 데뷔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케이팝 문화에서 ‘세계관’, 즉 그룹의 서사는 팬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핵심 요소이다. 서사는 그룹 간의 변별적인 정체성을 부여하고, 팬들이 해독해야 할 ‘텍스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팬 활동을 고취시킨다. 현재와 같이 가치 지향성이 중요해진 글로벌 문화 환경 속에서, ‘케데헌’의 인간적이고 공동체적인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걸그룹과 보이그룹 캐릭터들은 자아 발견 공주 이야기를 반복해 온 디즈니, 개인 성장형 모험 스토리를 제공하는 일본 애니메이션, 그리고 세계를 구하는 우주 대전쟁을 전개하는 DC와 마블 유니버스에 비교했을 때, 독특하고 매력적인 이국적 정서를 선사한다.
‘케데헌’의 서사는 수많은 프리퀄과 시퀄로 확장될 수 있는 개방된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동시대적으로는 헌터스들이 세계 투어 중 로컬의 ‘귀마’들과 싸우는 스토리를 통해 다양한 로컬 버전의 콘텐츠를 무한히 생산해낼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식적, 서사적 가능성에 더해 ‘케데헌’은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그들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새로운 서사 자원의 존재를 일깨우고 있다. 특히 북미 지역 한인 2세 제작자들의 독특한 한국 문화 경험과 애정은 ‘케데헌’이 글로벌 문화와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 중재(mediation)’를 가능하게 한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은 세계사를 한국인의 경험으로 포용하는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만들어냈으며, 이는 단순한 한류를 넘어 한국의 미래와 한인 디아스포라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촉발시킨다. ‘케데헌’은 이처럼 한류가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문을 열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