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상기후로 인한 대형 화재 및 붕괴사고와 같은 복합 재난은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시대로의 급격한 전환 역시 기존의 재난 대응 체계에 새로운 도전을 안겨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급변하는 재난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소방청은 기존의 자율기구인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정부가 추진 중인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라는 주요 국정과제와 맥락을 같이 한다.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향후 소방현장활동 지원을 위한 첨단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을 전담하게 된다. 또한, 소방정책에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 과학기술을 접목하는 과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관련 기술 지원을 수행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는 곧 제기된 복합 재난 및 기후위기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서, 첨단 기술을 재난 대응 시스템에 통합하려는 노력을 의미한다.
소방청은 이러한 조직 개편을 통해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재난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복합 재난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미래에 더욱 안전한 사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