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대한민국은 그 어느 때보다 녹록지 않은 현실과 마주하고 있다. 얼어붙은 경제 상황 속에서 자영업자들은 생존의 위협을 느끼고 있으며, 글로벌 경기 침체, 예측 불가능한 전쟁, 지정학적 불안정, 고물가, 고금리, 청년 실업,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는 우리 사회가 짊어진 벅찬 과제들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어려움 속에서 국민 정신건강 또한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으며, 최근 발표된 자살률 통계는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마음을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 학생들은 입시와 취업 준비에 지쳐 미래에 대한 확신을 잃고 있으며, 예측성의 저하로 인한 불안감 증가는 사소한 자극에도 짜증과 분노를 표출하게 만드는 사회적 분위기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노인들은 질병, 경제적 어려움, 정서적 고립감 속에서 사회로부터 소외되며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마치 끝이 보이지 않는 긴 터널 속에 갇힌 듯한 답답함이 우리 사회 전반을 감싸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희망’이라는 단어조차 사치처럼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 속에서도 우리는 잠시 멈춰 자신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은 이미 세계인의 주목을 받는 문화 강국으로 발돋움했으며, K-pop, K-drama, K-food는 세계인의 일상 속에 깊숙이 자리 잡았다. BTS, 블랙핑크, 영화 ‘기생충’, ‘오징어게임’ 등의 성공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오랜 시간 축적된 창의성, 끈기, 노력의 결실이다. 경제적으로도 우리는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서 정보통신, 의료, 교육, 치안 등 여러 분야에서 선진국 반열에 올라섰다. 해외에서 온 이들은 대한민국의 질서, 시민의식, 안전함에 놀라움을 표하며, 밤늦은 시간에도 안심하고 거리를 활보할 수 있는 환경, 카페에 귀중품을 두고 자리를 비워도 되는 문화는 다른 나라에서는 상상하기 힘든 특별한 일상이다.
이처럼 우리는 물질적 풍요를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서적으로는 더욱 불안하고 고립되었으며 쉽게 지쳐버리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어쩌면 너무 열심히, 너무 오랜 시간 앞만 보고 달려온 결과일지도 모른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경제 성장이나 기술 발전이 아니라, 우리가 나아가야 할 삶의 가치를 회복하고, 지나온 삶을 돌아보며 잠시 여유를 갖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 마음을 회복하는 일이다.
우리 민족은 이미 전쟁의 폐허 속에서 산업화를 이루어냈고, 국민들의 굳건한 의지는 독재를 넘어 민주화를 성취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전후의 극심한 가난 속에서도 자녀 교육을 포기하지 않고 희생을 감내했던 부모 세대는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끈기와 저력은 단순한 운이 아니라 우리 민족 속에 깊숙이 자리한 ‘희망의 유전자’ 덕분이다. 이 어려운 현실 앞에서 주저앉을 것인가, 아니면 수많은 위기를 이겨낸 ‘희망의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것인가에 대한 답은 분명하다. 우리는 이미 할 수 있었고, 수없이 해냈다. 이제 우리가 맞서야 할 것은 외부의 위협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마음속에 품은 불안과 두려움, 그리고 부정적인 생각이다.
많은 곡절 끝에 출범한 새 정부는 특정 지역, 특정 집단의 정부가 아닌, 우리 모두의 정부, 우리의 대통령이 되어야 한다. 많은 국민들이 변화와 혁신을 기대하고 있으며, 정부는 이 땅을 지켜온 국민의 희생과 열정을 기억하고, 우리가 가진 열정과 에너지가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민이 가진 창의성, 근면성, 공동체 정신은 지금 이 사회를 다시 한번 도약시킬 소중한 자산이다. 정부와 대통령은 국민을 믿고, 국민은 정부의 진정성과 방향성을 신뢰할 때 진정한 회복이 가능하다. 우리 마음속에 존재하는 ‘희망의 씨앗’이 자라날 수 있도록, 그 토양을 만들고 햇살을 비추는 일이 지금 가장 필요한 일이다.
앞으로도 많은 난관이 예상되지만, 이제는 ‘혼자 버티는’ 시간이 아닌 ‘함께 걸어가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앞만 보고 달려온 길 위에서 잠시 멈춰, 옆에 있는 사람을 살펴야 할 때다. 내 옆에 지쳐 있는 누군가를 일으켜 세우고, 나 또한 누군가의 손에 의지해 일어설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건강한 사회이며, 우리 속에 간직한 ‘희망의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