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요로운 결실을 맺는 추석 명절이 다가오지만, 명절의 기쁨을 온전히 누리지 못하는 이웃들이 우리 주변에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착한 소비’는 단순히 물건을 구매하는 행위를 넘어, 사회적 약자를 돕고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의미 있는 실천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정부가 인증한 사회적기업에서 생산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은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 사회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사회 공헌을 통해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며 영업 활동을 하는 기업을 말한다. 이는 2012년 8월 2일 시행된 사회적기업 육성법에 명시된 정의이다. 이러한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사회연대경제라는 대안적 경제 모델이 탄생했다. 사회연대경제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소셜벤처 등 다양한 조직이 연대와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이익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회연대경제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은 곧 ‘착한 소비’로 이어지며, 국민 누구나 이를 통해 사회연대경제 기업을 지원하고 취약계층이나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착한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은 두 개의 온라인 쇼핑몰을 새롭게 열었다. 기존의 통합 플랫폼이었던 ‘이스토어(e-store) 36.5’를 공공기관 전용 ‘가치장터’와 일반 국민을 위한 ‘스토어(STORE) 36.5’로 분리한 것이다.
일반 국민이 이용할 수 있는 ‘스토어(STORE) 36.5’는 착한 소비를 지향하는 모든 이들에게 열려 있다. 이곳에서는 정부가 엄선한 사회연대경제 기업의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으며, 이는 취약계층 지원, 지역 상생, 환경 보호 등 다채로운 사회적 가치 실현으로 이어진다. 입점 상품은 일반적인 상품뿐만 아니라 친환경, 지역 상생, 서비스 분야까지 아우르고 있어 소비자의 선택 폭을 넓히고 있다. 특히 ‘지속 가능한 가치 전용관’에서는 약자 보호, 지역 상생, 건강한 삶, 배움의 평등, 행복한 일터, 기술 혁신, 지역 재생 등 다양한 가치 실현에 기여하는 상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스토어(STORE) 36.5’는 각 사회연대경제 기업이 가진 감동적인 브랜드 스토리와 사회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브랜드스토리’ 코너를 마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기업의 설립 배경과 사회적 성과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사회적 성과는 SVI(사회적 가치지표)와 SPC(사회성과 인센티브)로 표시되어 객관적인 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씨튼장애인직업재활센터는 장애인의 직업 능력 향상과 안정적인 직업 생활을 지원하며 2025년 총 SPC가 688,799,395원에 달하는 등 실질적인 사회적 기여를 하고 있다.
추석을 맞이하여 ‘스토어(STORE) 36.5’에서는 9월 8일(월)부터 10월 9일(목)까지 추석 기획전과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 기간 동안 소비자들은 다양한 사회연대경제 기업의 명절 선물 제품을 최대 40% 이상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선착순 할인 쿠폰 제공 및 누리소통망(SNS) 고객 참여 이벤트 등을 통해 추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0원 이상 상품 구매 시 30% 할인(최대 10만 원) 쿠폰을 활용하거나, 상품별 10% 할인과 쿠폰 할인을 중복 적용하여 합리적인 가격으로 명절 선물을 준비할 수 있다.
이처럼 ‘스토어(STORE) 36.5’는 추석 선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보람과 기쁨을 더하는 ‘착한 소비’의 장을 제공한다. 발품을 팔지 않고 편리하게 온라인으로 우수한 상품을 구매하며 동시에 사회적 가치 실현에 동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진다. 명절 선물 구매뿐만 아니라, 추석이 지난 후에도 ‘스토어(STORE) 36.5’는 수시로 방문하여 착한 소비를 이어갈 수 있는 유용한 온라인 쇼핑몰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