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명절이 지나고 나면 남는 음식물 쓰레기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다. 명절 음식은 푸짐하게 차리지만, 모두 소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갈비찜, 잡채, 각종 전 등이 냉장고에 남아 데워 먹을 수도 있겠지만, 다른 요리로 재탄생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풍성한 명절의 여운을 이어가는 방법이 필요하다.
박찬일 셰프는 명절 음식이 남는 상황에 주목하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인 요리법 두 가지를 제안한다. 첫 번째는 ‘갈비찜 잡채볶음밥’이다. 명절 음식의 대표 격인 갈비찜과 잡채가 남았을 경우, 이 두 가지를 활용해 간편하면서도 맛있는 볶음밥을 만들 수 있다.
방법은 간단하다. 남은 갈비찜에서 뼈와 물러진 채소 등은 추려내고, 갈비찜의 양념 소스는 볶음밥의 베이스로 활용한다. 여기에 잡채와 밥 한 공기를 더하고, 고추장 반 큰 술과 김가루를 첨가하여 볶아내면 된다. 식용유는 갈비소스와 잡채에 이미 기름기가 충분하기 때문에 따로 넣지 않아도 된다. 만약 단맛과 매운맛을 더하고 싶다면, 고추장 대신 다진 신김치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볶음밥은 남은 재료를 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동시에, 특별한 한 끼를 선사한다.
두 번째 요리법은 ‘전 두루치기’다. 명절에 빠지지 않는 전 역시 남기기 쉬운 음식 중 하나다. 박 셰프는 남은 전을 활용해 ‘두루치기’라는 새로운 요리를 제안한다. 두루치기는 조림이나 볶음과 유사하지만 즉석 요리의 느낌이 강한 요리다.
전 두루치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남은 전과 함께 잘 익은 김치, 파, 고춧가루, 다진 마늘, 캔 참치, 치킨스톡이 필요하다. 먼저 냄비에 식용유를 두르고 다진 마늘과 파를 볶아 향을 낸다. 여기에 캔 참치를 넣고 물과 치킨스톡을 조금 부어준 뒤,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 김치와 남은 전을 넣고 고춧가루를 넣어 바글바글 끓이면 완성된다. 특히 두부전이 남았다면 두루치기와의 궁합이 더욱 좋다. 전에서 우러나오는 기름기가 국물을 진하고 깊게 만들어주며, 마지막에 간을 맞추면 밥과 함께 먹기 좋은 ‘짜글이’ 스타일의 두루치기가 완성된다.
박찬일 셰프의 제안은 명절 음식물 쓰레기라는 익숙한 ‘문제’를 ‘남은 음식을 활용한 새로운 요리’라는 ‘솔루션’으로 해결하려는 시도다. 이러한 ‘푸드 리사이클링’ 요리법은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일 뿐만 아니라, 명절 음식의 풍미를 새롭게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이 확산된다면 명절을 더욱 풍성하고 의미 있게 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