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연휴가 끝나고 냉장고 문을 열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것은 바로 명절 음식의 잔해다. 푸짐하게 차려냈던 음식들이지만, 연휴가 길어질수록 혹은 재차 명절을 보내면서 조금씩 남게 되는 음식들은 처치곤란으로 전락하기 십상이다. 특히 푸짐하게 준비했던 갈비찜이나 잡채, 그리고 여러 가지 전들은 다시 데워 먹는 것 외에 색다른 활용법을 찾기 어려워 결국 버려지거나 맛없는 음식으로 남게 된다. 이는 단순히 음식물 쓰레기 문제뿐만 아니라, 명절을 준비하며 들인 정성과 비용의 낭비라는 점에서 분명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명절 음식 남김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박찬일 셰프는 두 가지 독창적인 요리법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바로 ‘갈비찜 잡채볶음밥’이다. 명절 대표 음식인 갈비찜과 잡채가 남았을 경우, 이 두 가지를 활용하여 훌륭한 볶음밥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냄비 바닥에 남은 갈비찜의 양념과 뼈대를 추려내고, 여기에 당면이 불어 물러진 잡채와 약간의 고추장, 그리고 김가루를 더해 볶아내면 별도의 식용유 없이도 충분히 풍미 있는 볶음밥을 완성할 수 있다. 갈비찜의 달콤 짭짤한 양념과 잡채의 식감이 어우러져 한 끼 식사로 손색이 없으며, 남은 음식을 전혀 다른 요리로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인 활용법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제안하는 요리는 ‘전 두루치기’다. 명절 음식의 빠질 수 없는 메뉴인 전 역시 남을 경우 처리가 난감한 경우가 많다. 박 셰프는 이 전들을 잘 익은 김치, 파, 고춧가루, 다진 마늘, 캔 참치, 그리고 치킨스톡을 활용하여 매콤달콤한 두루치기로 변모시킬 수 있다고 설명한다. 냄비에 기름을 두르고 마늘과 파를 볶다가 캔 참치와 물, 치킨스톡을 넣고 끓인 후, 잘라둔 전과 김치를 넣어 바글바글 끓여내면 완성된다. 특히 두부전이 남았을 경우 이 두루치기에 넣으면 더욱 깊은 맛을 낼 수 있으며, 전에서 우러나오는 기름 덕분에 국물이 진하고 풍부해져 특별한 조리법 없이도 훌륭한 요리가 완성된다. 이처럼 남은 명절 음식을 단순히 재가열하는 것을 넘어, 전혀 새로운 요리로 재창조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명절의 풍요로움을 더욱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박찬일 셰프의 제안은 명절 음식 남김이라는 보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갈비찜 잡채볶음밥’과 ‘전 두루치기’는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면서도 풍성한 맛을 즐길 수 있는 창의적인 방법이다. 앞으로 많은 가정에서 이러한 레시피를 활용하여 명절 음식을 남김없이 즐기고, 음식물 쓰레기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란다. 이는 단순히 음식을 활용하는 것을 넘어, 명절의 의미를 더욱 깊이 되새기고 지속 가능한 식문화를 만들어나가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