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가을, 한국과 세계가 문화로 소통하는 ‘제7회 공공외교주간’이 열리고 있다. 정부 간의 딱딱한 외교를 넘어, 국민들이 문화와 예술을 통해 서로에 대한 신뢰와 호감을 쌓아가는 공공외교의 장이 마련된 것이다. 이는 곧 해외 거주 시절, 한류 이전 시대에도 외국 친구들의 한국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며 한국으로 이끌었던 ‘우리 모두가 공공 외교관’이라는 당연한 사실을 다시금 되새기게 한다.
이처럼 국민 개개인이 국가를 알리는 외교관이 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는 여전히 ‘외교’라는 단어에 대한 막연한 어려움이나 정부만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이 남아있다. 특히 최근에는 외교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외교 활동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나 참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과거 한국과 콜롬비아처럼 지리적으로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문화적으로는 깊은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국민들이 직접 공공외교를 체험하고 그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시한다. 올해로 7회를 맞은 이 행사는 9월 8일부터 27일까지 한국국제교류재단(KF) 글로벌센터를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진행되며, 한국의 공공외교 현장과 문화를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소통하며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국제사회 협력의 기반이 되는 호감과 신뢰를 쌓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기자는 딸과 함께 참여한 ‘콜롬비아 스페셜티 커피의 놀라운 세계’ 워크숍을 통해 이러한 공공외교의 가능성을 직접 경험했다.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한국과 콜롬비아가 커피라는 매개체를 통해 어떻게 마음을 나누고 공감할 수 있는지,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와 커피 전문가 강병문 씨의 강연은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했다. 커피의 역사와 콜롬비아 커피의 특징, 그리고 생산 과정에 대한 설명은 물론, 참가자들이 직접 두 종류의 콜롬비아 커피를 시음하며 각자의 취향을 이야기하는 과정은 문화적 차이를 넘어선 공감대를 형성하는 순간이었다. 더불어, 콜롬비아가 6·25 전쟁 당시 파병으로 한국을 도왔던 역사와 현재 무비자 협정을 통해 양국 국민들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다는 점은, 단순한 커피 시음을 넘어선 깊은 유대감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처럼 공공외교주간은 단순히 외국 문화를 소개하는 것을 넘어,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소통하며 국가 간의 이해와 협력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교부가 내년도 예산안에서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을 확대하고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점, 그리고 올해 한국에서 열리는 다양한 국제 행사들의 맥락 속에서 공공외교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정부만의 외교가 아닌, 국민들의 지지와 참여가 동반될 때 비로소 지속 가능하고 강력한 외교 관계가 구축될 수 있음을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이번 공공외교주간을 통해 국민들이 공공외교의 주체로서 스스로를 인식하고, 문화 교류를 통해 세계와 더욱 깊이 연결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