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를 맞아 문화생활을 계획했던 많은 이들이 수도권에 집중된 문화 향유 기회에 아쉬움을 토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는 2차 공연·전시 할인권 배포를 시작하며, 특히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했다. 지난 9월 25일(목)부터 발행된 이번 할인권은 1차 때의 성공을 발판 삼아 전국 단위 할인권과 더불어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을 추가로 제공하며 지역 문화 예술 활성화라는 새로운 목표를 설정했다.
이번 2차 할인권 사업은 전국 단위 할인권만 제공했던 1차와 달리,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모든 지역 주민에게 혜택을 주는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을 별도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그동안 문화 향유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 문화 생태계를 활성화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등 지정된 예매처에서 각각 2매씩 발급되며, 공연은 1매당 15,000원, 전시는 1매당 5,000원의 높은 할인율을 적용하여 실질적인 문화 소비 부담을 낮추고 있다.
정확한 사업 기간은 11월 27일까지이며, 발급받은 쿠폰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미사용 쿠폰은 유효기간 만료 시 자동 소멸되므로 기간 내 사용을 권장한다. 특히 이번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기존 전국 할인권보다 할인 폭이 더 크게 책정되어, 평소 고가로 느껴졌던 공연이나 전시 관람에 대한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추었다. 예를 들어, 대구 북구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진행된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의 경우,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 적용으로 정가보다 훨씬 저렴하게 예매가 가능했으며, 이를 통해 관람객들은 뱅크시의 사회 풍자적 작품 세계와 그의 예술 철학을 깊이 있게 감상할 수 있었다. 뱅크시의 대표작인 <풍선을 든 소녀>가 분쇄되는 과정을 담은 영상과 10년 전 버려진 수영장을 개조해 운영했던 디즈멀랜드의 흔적까지, 전시 내용은 뱅크시의 예술가로서의 메시지를 다채롭게 전달했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권 사업은 비수도권 지역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전시와 공연이 수도권 못지않은 기획력과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음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뱅크시 사진전 관람객은 “서울로 떠난 뒤 고향에서 전시를 볼 엄두를 내지 못했는데,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 덕분에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그 어느 때보다 의미 있는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처럼 지역 문화 거점을 활성화하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더욱 가깝게 느끼고 향유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번 할인권 사업을 통해 지방 문화 예술계의 활력을 불어넣고, 문화 향유의 불균형을 완화하여 더욱 풍요로운 문화 국가를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