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0여 년 역사를 품은 반구천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며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지만, 수천 년간 이어져 온 이 위대한 문화유산은 여전히 ‘수몰 위협’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1970년 12월 24일, 울산 언양의 절벽에서 우연히 발견된 천전리 암각화와 1년 뒤인 1971년 12월 25일, 인근 대곡리에서 발견된 고래, 사슴 등 동물이 생생하게 그려진 암각화는 ‘크리스마스의 기적’ 또는 ‘크리스마스의 선물’이라 불릴 정도로 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특히 초기에는 ‘천전리 암각화’와 ‘대곡리 암각화’로 불리던 것이 현재는 ‘반구천 암각화’로 통칭되며, 이번 유네스코 등재 공식 명칭 또한 ‘반구천 암각화’로 확정되었다. 이 유적은 선사 시대부터 6000년에 걸쳐 이어져 온 인간의 상상력과 예술성, 그리고 자연과의 깊은 교감을 바위 위에 새긴 ‘역사의 벽화’로 평가받고 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 암각화에 대해 “선사 시대부터 6000여 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자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는 선사인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단순한 동물의 묘사를 넘어 집단 의례의 도상이며, 인류 예술의 기원, 나아가 오늘날 다큐멘터리의 스토리보드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동해 연안 거주민들이 집단으로 고래를 사냥하고, 이를 반석 같은 바위에 새겨 하늘로 띄운 기도이자 공동체의 삶을 기록한 생활 연대기였다. 프랑스의 라스코 동굴벽화, 스페인의 알타미라 동굴벽화와 비견될 만한 가치를 지닌다. 천전리 암각화에 새겨진 높이 약 2.7m, 너비 10m의 바위 면에는 620여 점의 추상적 문양과 신라 시대의 명문이,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새끼 고래를 이끄는 무리, 작살에 맞아 배로 끌려가는 고래 모습, 호랑이·사슴 같은 육지동물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의의 흔적이 생생하게 남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찬란한 역사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반구천 암각화는 수몰 위협이라는 치명적인 난관에 봉착해 있었다. 댐 건설로 인해 바위가 물에 잠기는 일이 잦아지면서 박락이 떨어져 나가고, 어설픈 탁본으로 인해 원본이 상실되는 안타까운 일도 발생했다. 최근 가뭄으로 암각화가 자주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만, 점증하는 기후변화와 댐 운영의 변수 앞에서 ‘반구천’은 언제든 ‘반수천(半水川)’이 될 수 있으며, 물속에 잠긴 유산은 세계유산으로서의 지위를 잃을 수도 있다. 유네스코는 등재 이후의 보호·관리 계획이 부실할 경우 등재를 철회할 수도 있는 만큼, ‘기적의 현장’을 ‘수몰의 현장’으로 되돌리는 일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
이제 진짜 과제는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이후의 지속적인 보호와 발전 전략이다. 울산시는 ‘고래의 도시’를 표방하며 고래 축제 개최 등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암각화를 단순 보존하는 것을 넘어 체험형 테마공원, 탐방로, 교육 프로그램, 워케이션 공간까지 아우르는 생동하는 문화공간으로 조성하고 있다. 또한, 이번 등재를 계기로 AI 기반의 스마트 유산관리 시스템, 암각화 세계센터 건립 등 미래형 전략도 병행된다. 하지만 관광 인프라라는 명분 아래 생태 환경이 훼손되거나 과잉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이는 유산의 본질을 배반하는 일이 될 것이다.
프랑스의 라스코 동굴벽화와 스페인의 알타미라 동굴벽화 사례는 문화유산의 공개와 보존 사이의 긴장 관계를 여실히 보여준다. 라스코 동굴은 1963년 일반 공개 이후 급증한 관람객으로 인한 환경 변화로 진본 동굴을 폐쇄하고 재현 동굴을 만들었으며, 알타미라 동굴 역시 2002년 이후 벽화 훼손으로 전면 폐쇄하고 정밀 복제 동굴을 통해 교육 및 관광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들 유적은 결국 복제품을 통한 ‘간접 관람’ 방식으로 전환되어 원본의 ‘아우라’를 보존하는 동시에 후대에 온전히 물려줄 책임을 다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반구천 암각화 역시 현대 기술인 3D 스캔, 디지털 프린트, AI 제어 등을 활용하여 원본의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반구천 암각화에 새겨진 고래의 꿈은 유네스코의 이름으로 되살아났으며, 이제 이 거대한 바위의 장엄한 서사는 인류와 함께 나누는 이야기로 승화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