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여름은 더위를 쫓는 특별한 경험을 갈망하는 계절이었다. 마치 한여름 밤의 납량특집처럼, 사람들은 오싹한 이야기와 함께 시원함을 주는 존재를 찾았다. 빙수는 그 여름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단순한 간식을 넘어 더위를 잊게 하는 신비로운 존재감을 지녔다. 십 원짜리 추억부터 고급스러운 경험까지, 빙수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그 형태를 달리하며 우리의 삶 속에 녹아들었다.
과거, 1970년대의 학교 앞 풍경을 떠올려보면, 에펠탑 모양의 주물 빙수 기계로 만든 십 원짜리 빙수는 어린 시절의 소중한 기억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십 원이라는 적은 돈으로도 맛볼 수 있었던 빙수는, 비록 그 맛이 화려하지는 않았을지라도, 아이들의 더위를 식혀주는 귀한 존재였다. 기계 손잡이를 돌릴 때마다 쏟아져 나오는 얼음 알갱이를 보며 더위를 잊었던 풍경은, 단순한 음식을 넘어선 추억으로 생생하게 남아있다. 더 나아가 시내의 제과점에서는 우유와 연유를 듬뿍 넣어 곱게 간 얼음으로 만든 팥빙수나 과일 빙수를 맛볼 수 있었다. 산처럼 쌓아 올린 얼음이 금세 무너져 내리는 모습은 마치 순식간에 사라지는 여름의 아쉬움을 닮아 있었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빙수는 단순히 여름철 음식을 넘어 사계절 별미로 진화하기 시작했다. 눈꽃 빙수의 등장은 빙수의 식감을 혁신적으로 바꾸었고, 이후 빙수 전문 카페와 호텔에서는 경쟁적으로 고급화된 빙수를 선보이며 우리의 미각을 자극했다. 십만 원에 육박하는 고가의 빙수까지 등장하며, 우리는 이제 ‘빙수 왕국’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진정한 빙수의 왕국은 부산에 있다. 부산의 빙수는 그 명성이 자자하여, 광복동이나 용호동에는 빙수 거리가 형성될 정도다. 국제시장 안에서 맛보는 빙수는 늘 긴 줄을 서야 할 만큼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부산이 왜 빙수의 도시가 되었을까. 그 이유는 바로 생선 보관에 필요한 얼음과 더운 날씨에 대한 갈증에서 비롯되었다. 부산 시민들은 화려하고 요란한 고명보다는, 수수하고 담백한 옛날 빙수를 선호한다. ‘할매’라는 이름이 붙은 부산의 빙수는 마치 푸근한 정을 담은 듯, 그 이름만으로도 구미를 당기게 한다. 부산 빙수는 과한 고명 대신, 넉넉하게 얹은 팥이 특징이다. 부드러운 식감의 눈꽃 빙수가 전국을 석권했지만, 많은 이들이 소박하고 투박한 부산식 할매 빙수에서 진정한 맛을 느낀다. 너무 달지 않은 팥은 마치 할머니의 정처럼 얼음 위에 푸짐하게 담겨, 한 그릇을 다 비우고 나면 간식이나 디저트가 아닌 든든한 한 끼 식사를 한 듯한 만족감을 선사한다.
조선시대, 서민들이 여름에 얼음을 보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호사였다. 겨울이면 한강에서 얼음을 채취하여 서빙고, 동빙고에 저장했다가 궁궐에서 냉장고처럼 사용했다. 왕이 먹는 음식 재료의 부패를 막기 위한 것이었으며, 여름 얼음은 왕실만의 전유물이었다. 이처럼 옛날 이야기를 통해 얼음이 얼마나 귀했는지를 실감할 수 있다. 차가운 수정과 같은 음료를 만들었을 당시에도, 얼음은 궁의 창고에 보관되어야만 했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는 시원한 얼음을 이용하여 최고의 음식인 팥빙수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여름이 저물기 전에, 부산으로 떠나 그곳만의 특별한 할매 빙수를 맛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