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변덕스러운 날씨만큼이나 예측하기 어려운 것이 현대 사회의 변화 속도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한때 많은 이들의 즐거움이자 중요한 소통 수단이었던 우표의 위상이 예전 같지 않다는 점은 아쉬움을 남긴다. 초등학생 시절, 단순히 숙제를 위해 시작했던 우표 수집이 이제는 희미한 추억이 되었지만, 과거 1990년대에는 ‘우표 수집’이 아이들에게도 자랑스러운 취미로 여겨질 만큼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다. 기념우표가 발행되는 날이면 새벽부터 우체국 앞에 길게 늘어섰던 사람들의 모습은, 당시 우표가 지녔던 높은 위상을 짐작게 한다. 마치 빵을 사면 얻을 수 있었던 캐릭터 스티커처럼, 1990년대 우표는 그만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던 문화적 코드였다.
시대가 흐르면서 손 편지는 점차 귀해졌고, 자연스럽게 우표를 접하거나 우표 수집가를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하지만 우표 수집은 여전히 그 자체로 충분히 매력적인 취미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부피가 작아 보관이 용이하고, 가격 부담이 적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년 다양한 디자인의 기념우표가 꾸준히 발행되어 모으는 재미를 더하며, 국내 우표를 넘어 해외 우표까지 시야를 넓히면 수집의 가능성은 무한대로 확장될 수 있다.
우표는 크게 우편 요금 납부를 주목적으로 발행 기간이나 발행량이 정해지지 않은 ‘보통우표’와, 특정한 사건이나 인물, 문화를 기념하기 위해 발행되며 발행량과 기간이 제한적인 ‘기념우표’로 구분된다. 대한민국 기념우표는 우정사업본부의 고시에 따라 매년 국내외 주요 행사, 인물, 자연, 과학기술, 문화 등 다채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연간 약 10~20회 정도 발행된다. 구체적으로 2025년에는 총 21종의 기념우표 발행이 계획되어 있으며, 지난 5월 8일에는 가정의 달을 맞아 ‘사랑스러운 아기’를 주제로 한 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우정사업본부의 공식 기념우표 외에도 각 지방 우정청, 우체국,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자체적으로 기념우표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지난 2023년 11월,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1주년을 기념하여 강원지방우정청과 강원일보사가 협력하여 발행한 우표첩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은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낸 소중한 기록으로서 기념우표 이상의 가치를 인정받으며 큰 호평을 받았다. 또한, 지난해 태백우체국이 발행한 ‘별빛 가득한 태백 은하수 기념우표’와 올해 4월 양구군에서 발행한 ‘양구 9경 선정 기념우표’는 강원의 아름다운 자연을 담아내어 단순한 수집품을 넘어 지역 홍보 수단으로서의 역할까지 수행하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처럼 다채로운 매력을 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표가 과거와 같은 위상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 아쉬운 부분이다. 한때 모든 이들의 즐거움이었던 우표가, 다시금 많은 사람들에게 소중한 즐거움과 추억을 선사하는 매개체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