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부터 중·고등학교에서 수행평가 제도가 전면 개편되면서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기존의 과제 중심, 암기식 수행평가에서 벗어나 수업 시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과정 중심 평가로 변화하는 이번 개편은 교육 현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거 수행평가는 지필평가와 함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가르는 중요한 항목이었으나, 때로는 평가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자잘하고 까다로운 방식으로 운영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학원 등 사교육의 도움을 받거나 집에서 과제물을 미리 완성해 오는 등 편법적인 준비 과정에 몰두할 수밖에 없었다. 영어 작문 수행평가를 위해 미리 답안지를 작성하거나, 미술 만들기 과제를 집에서 완성해 오는 경우가 빈번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학생들이 실제 학습 과정에 집중하기보다는 평가 자체에 매몰되게 만드는 부작용을 낳았다.
이에 교육부는 2025년 2학기부터 중·고등학교 수행평가가 수업 시간 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제도를 개정했다. 이는 학생들이 느끼는 수행평가의 부담감을 덜어주고, 단순 암기식 평가에서 벗어나 학습 과정 자체를 중시하는 ‘과정 중심 평가’로 전환하려는 취지에서 비롯되었다. 이번 개편을 통해 학교는 자체 점검표를 활용하여 평가 계획을 개선하고, 교육청은 매 학기 시작 전 학교의 평가 계획을 점검하게 된다. 특히 외부 요인의 개입 가능성이 높은 과제형 또는 암기형 수행평가가 운영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할 방침이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어 교과의 경우, 그동안 암기식 문답지 풀이나 작문 중심의 수행평가에서 벗어나 조를 이루어 토론하고 자유롭게 발상하며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활동이 늘었다. 수학 교과에서는 단순히 문제 풀이 정답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며, 문제 탐구 후 질문을 작성하거나 과정을 모으는 포트폴리오 형식의 평가가 확대되고 있다. 이는 학생들에게 문제 풀이 능력뿐만 아니라 사고력과 탐구 능력을 함양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수행평가 제도 변화에 발맞춰 학생들의 학습 태도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멘토링에 참여한 한 고등학생은 1학기와 달리 2학기에는 밤샘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평상시 수업 태도와 수업 시간 내 활동에 집중하고 경청하는 자세가 몸에 배면서, 오히려 집에서 급하게 공부하는 일이 줄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수행평가 본연의 취지, 즉 학생의 성장과 변화 과정을 지켜보며 개별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데 더욱 부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사회, 과학, 미술 등 다양한 교과목에서도 과정 중심 평가가 도입됨에 따라, 학생들은 암기식 공부의 부담에서 벗어나 더욱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학습 경험을 쌓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