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증 사진 한 장, 혹은 단순한 카카오톡 메시지 하나로 평범한 일상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범죄의 이면에는 첨단 기술보다는 일상적인 정보 공유와 예방 교육의 부재라는 근본적인 원인이 자리 잡고 있다. 최근 이재우 강원지방우정청 주무관이 겪었던 사례는 이러한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작년 여름, 그는 친정 어머니 댁에서 평범한 하루를 보내던 중 예상치 못한 연락을 받았다. 어머니는 마치 딸인 것처럼 접근한 모르는 번호로부터 카카오톡 메시지를 받고, 신분증 사진을 보내고 링크를 클릭하는 등 요구에 응했다. 이로 인해 어머니의 휴대폰에는 처음 보는 이상한 앱들이 다수 설치되었고, 문제의 카카오톡 대화 내용은 감쪽같이 사라졌다.
이 사건은 단순한 개인의 실수가 아닌, 보이스피싱이라는 ‘생활 속 범죄’가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을 얼마나 쉽게 위협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사건 발생 후 경찰서 민원실에서 받은 대처 안내문을 바탕으로 신분증 분실 신고, 악성 앱 삭제, 개인정보 노출 등록 등 긴급 조치가 이루어졌지만, 확인 결과 어머니의 명의로 대포폰 2대가 개통되었고 10개가 넘는 온라인 사이트에 가입되었으며 50만 원의 소액결제 피해까지 발생했다. 다행히 어머니가 인터넷뱅킹을 사용하지 않아 더 큰 금전적 피해를 막을 수 있었지만, 정신적인 충격과 속상함은 상당했다. 이러한 경험은 보이스피싱이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주변에서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위협임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이처럼 디지털 환경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범죄 피해를 예방하고 줄이기 위해, 우정사업본부가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지난 4월부터 부산, 강원, 충청 지역의 농어촌 지역 고령층을 대상으로 ‘우체국 디지털 교육’을 시범 운영하기 시작했으며, 올해 하반기부터는 전국 농어촌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교육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보이스피싱 예방법은 물론 키오스크, 모바일뱅킹, ATM 사용법 등 실제 생활에 필요한 디지털 기기 활용 방법을 알려줌으로써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우정사업본부의 노력은 신분증이나 카카오톡 하나로도 큰 피해를 볼 수 있는 현 시대에, 거창한 기술이 아닌 일상 속 정보 공유와 올바른 디지털 활용 교육이 가장 확실한 예방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우정사업본부는 전국 곳곳에서 어르신들과 직접 만나며 이러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이 작은 교육 한 번의 시도가 개인과 가족, 나아가 우리 사회 전체를 지키는 든든한 방패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