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장생포가 과거 포경 산업의 중심지에서 문화 공간으로 변모하면서, 역사와 기억을 담은 고래고기가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사라진 산업과 생업에 대한 애도와 향수가 깃든 고래고기를 음미하는 행위는 단순한 식사를 넘어 과거를 회상하는 의례로 자리 잡고 있다. 장생포의 고래는 사라졌지만, 고래고기는 여전히 도시의 기억을 되새기고 공동체의 미래를 준비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장생포는 예로부터 고래의 서식지로 적합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동해와 남해가 만나는 교차점에 위치하며 태화강, 삼호강, 회야강 등에서 유입되는 풍부한 부유물과 플랑크톤 덕분에 새우를 비롯한 작은 물고기들이 모여들었고, 이는 고래에게 더없이 좋은 보금자리가 되었다. 이러한 환경 덕분에 장생포 앞바다는 선사시대부터 고래가 모이는 깊은 바다였으며, 울산 반구대암각화에 새겨진 고래잡이 그림 등이 이를 증명한다. 조수 간만의 차가 적은 장생포 앞바다는 염전 조성과 미역 등 해조류 성장에도 유리하여 지역 경제에 기여했다.
이러한 자연 조건 덕분에 장생포는 과거 포경 산업의 황금기를 누렸다. 어업이 성행하여 ‘개가 만 원 지폐를 물고 다녔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경제적 풍요를 누렸으며, 수출입품을 실어 나르는 대형 선박과 6~7층 규모의 냉동창고가 즐비했다. 1973년 남양냉동, 1993년 세창냉동과 같이 냉동 창고 산업도 발달했으나, 경영 악화로 문을 닫으며 주인을 잃기도 했다.
폐허가 된 냉동 창고는 지자체와 시민들의 노력으로 새로운 생명을 얻었다. 2016년 울산 남구청이 건물과 토지를 매입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하여 2021년 장생포문화창고를 개관했다. 이곳은 소극장, 녹음실, 연습실 등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거점 공간이자, 특별 전시관, 갤러리, 미디어아트 전시관 등을 갖춘 복합 문화 예술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에어장생’ 체험 프로그램, 정선, 김홍도, 신윤복 등 조선 시대 화가들의 작품을 미디어 아트로 재현한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전시회, 그리고 울산 공업의 역사를 보여주는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은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수십 년 된 냉동 창고 문을 그대로 보존하며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는 폐기된 공간을 예술 공간으로 재활용한 대표적인 업사이클링 사례다.
장생포는 과거의 산업적 영광과 함께 근현대 개발 과정에서의 아픔도 간직하고 있다. 1980년대 조성된 울산 온산국가산업단지에 제련소, 석유화학공장 등이 집중되면서 중금속 배출로 인한 ‘온산병’이라는 중금속 중독 질환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역사를 기억하는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은 부모 세대에게는 추억과 애잔함을, 젊은 세대에게는 우리 산업 발전의 이면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과거 한반도 연근해는 고래의 황금어장이었지만, 포경업에 대한 무관심과 남획으로 인해 고래는 점차 사라졌다. 1946년 최초 조선포경주식회사가 설립되어 고래잡이를 시작했지만,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의 상업 포경 금지 결정으로 장생포의 고래잡이 영광은 막을 내렸다.
아이러니하게도 사라진 고래의 명맥은 고래고기를 통해 이어지고 있다. 장생포의 고래요릿집에서는 여전히 고래고기를 맛볼 수 있으며, 혼획된 밍크고래 등을 합법적으로 유통하고 있다. 고래고기의 희소성과 높은 가격은 오히려 이를 더욱 욕망의 대상으로 만들고 있다. ‘일두백미’라 불리는 소처럼, 고래 한 마리에서도 최소 12가지 이상의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으며, 특히 턱 아래 부채꼴 모양의 ‘우네’나 피하지방과 근육층이 겹겹이 붙어 있는 ‘오배기’ 같은 고급 부위는 고래 특유의 풍미를 극대화한다. 삶은 수육과 생회, 그리고 육회까지 다양한 조리법으로 즐기는 고래고기는 부위마다, 조리법마다 뚜렷한 존재감을 드러내며, 때로는 부드럽게, 때로는 쫄깃한 식감으로 미식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결론적으로 장생포는 더 이상 고래잡이 산업의 중심지가 아니지만, 고래고기를 통해 과거 산업의 역사를 기억하고, 사라진 생업에 대한 향수를 달래는 문화적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장생포의 고래고기는 단순히 음식을 넘어, 고래로 꿈꾸었던 어부들, 고래고기로 단백질을 보충했던 피란민들, 그리고 한강의 기적을 일군 산업 역군들을 기리는 문화적 지층을 담고 있다. 장생포의 고래는 사라졌지만, 고래고기는 여전히 과거의 시간을 씹고, 도시의 기억을 삼키며, 공동체의 내일을 준비하는 소중한 유산으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