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은 ‘청년의 날’이다. 이는 청년의 권리와 자립, 성장을 응원하고자 법정기념일로 제정된 날이지만, 많은 청년들이 이 날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또는 어떤 행사가 열리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부족으로 인해 소외감을 느끼거나 막연한 거리감을 가질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실제로 필자 역시 처음에는 청년의 날 행사가 딱딱하고 자신과는 무관한 행사일 것이라는 선입견을 가졌던 경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들이 실질적인 도움과 영감을 얻을 수 있도록, 올해는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주일간 전국적으로 ‘청년주간’이 운영된다. 이 기간 동안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청년들을 위한 다채로운 행사들을 준비하며, 기존의 막연함이나 정보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올해 운영되는 청년주간에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공감하고 고민할 만한 주제를 다루는 행사들이 대거 포함되어 있다. 진로, 창업, 문화, 심리, 관계, 자기 계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맞춤형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관련 행사 정보를 찾는 방법 또한 다양해졌다. 각 지자체 누리집에서 ‘청년정책’ 또는 ‘청년센터’ 관련 메뉴를 확인하거나, 지자체 공식 SNS 채널을 통해 최신 소식을 받아볼 수 있다. 또한,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에서 ‘청년의 날’을 검색하거나 ‘청년의 날 + 지역명’을 입력하면 보다 구체적인 지역별 행사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올해에는 로이킴 공연을 포함한 순천 <청년의 날 X 주말의 광장> 행사, 개그우먼 김영희 토크콘서트와 안성 청년가왕 행사 등이 포함된 안성시 <안성청년 쉴래말래?> 청년 축제 등 지역별 특색을 살린 개성 있는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 있다. 필자가 직접 참여한 서울 은평구의 ‘은평청년톡톡콘서트’에서는 유명 PD인 김태호 PD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9월 18일 평일 저녁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무한도전>, <놀면 뭐하니?> 등을 연출한 김태호 PD의 강연을 듣기 위해 수많은 청년이 자리를 가득 메웠다.
이날 김태호 PD는 달라진 미디어 환경 속에서 콘텐츠를 기획하고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했다. 방송국 중심의 미디어 환경에서 플랫폼이 다양화된 변화 속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을지에 대한 그의 분석은 같은 미디어 산업 분야를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큰 공감을 얻었다. 강연에는 기자, 작가, 크리에이터 등 언론·미디어 분야를 꿈꾸는 많은 청년들이 참여하여 함께 소통하고 즐기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특히, 이번 강연에는 수어 통역이 제공되어 정보에 대한 평등한 접근성을 높인 점은 더욱 의미있는 경험을 선사했다.
이처럼 청년의 날 행사는 단순히 기념일을 축하하는 것을 넘어, 청년들이 스스로의 진로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왜 그 일을 하고 싶은지를 되새겨 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작년에도 ‘위라클’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박위의 강연을 통해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 자신만의 미디어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던 경험이 있다.
결론적으로, 청년의 날은 현재를 살아가는 청년들에게 잠시 멈추어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을 선물한다. 각 지역에서 열리는 다양한 행사들을 통해 관심 분야의 강연을 듣거나 부스를 체험하는 활동은 청년들에게 좋은 추억과 함께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청년들은 청년의 날마다 적극적으로 양질의 강연과 프로그램을 찾아 참여함으로써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고 새로운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박세아 new220723@naver.com
[자료제공 :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