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인기가 제주를 다시금 주목하게 만들고 있지만, 제주를 찾는 관광객 감소라는 문제가 관광지로서의 위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인해 제주를 찾는 발길이 예전 같지 않기 때문이다. 높은 물가 등 국내 여행 1번지로서 제주가 가진 몇 가지 숙제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주는 여전히 매력적인 땅으로 그 이름을 값하고 있다. 특히 십 년 만에 다시 찾은 용머리해안은 로컬100에 이름을 올린 제주의 소중한 유산으로서 제주 여행의 진수를 보여주는 곳이다.
하지만 용머리해안의 진정한 가치를 아는 제주 사람조차 많지 않으며, 방문 또한 기상 조건과 물때에 따라 제한된다. 매일 오전 9시부터 운영되는 관광안내소에 입장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이며, 미끄럽지 않은 편안한 신발을 착용해야 한다. 용머리해안이 위치한 서귀포시 안덕면에 이르기 전부터 시선을 사로잡는 산방산은 설문대 할망 설화로도 유명하지만, 실제로는 한라산보다 먼저 생성된 화산체다. 용머리해안 역시 산방산, 그리고 제주 본토가 생기기 훨씬 이전인 약 100만 년 전에 만들어진 화산체로,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땅이다.
약 100만 년 전 얕은 바다에서 일어난 화산 폭발은 간헐적으로 반복되며 여러 분화구를 형성했다. 화산재가 분화구를 막아 이동하면서 각기 다른 세 방향으로 쌓인 화산재 지층을 용머리해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랜 세월 파도에 깎여나가고 새로운 화산재가 쌓이는 과정을 반복하며 만들어진 용머리해안은 제주 최초의 땅이자 태곳적 모습을 간직한 곳이다. 이곳의 풍경은 사진이나 영상으로는 온전히 담아낼 수 없으며, 직접 봐야만 용암과 바다, 그리고 시간이 빚어낸 장엄한 무게를 느낄 수 있다. 검은 현무암과 옥색 바다가 어우러진 풍경 속에서 100만 년 세월의 흔적을 느낄 수 있으며, 움푹 들어간 굴방과 넓은 암벽의 침식 지대는 장관을 연출한다. 사암층과 해안 절벽은 오랜 시간의 축적을 보여준다.
용머리해안이라는 이름은 바위가 용의 머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졌다. 진시황이 이곳의 영기를 끊기 위해 사자를 보냈다는 전설은 이 땅의 신비로움을 더한다. 용의 피가 솟아 만들어졌다는 기암절벽, 층층이 쌓인 지층, 그리고 시루떡처럼 겹겹이 쌓인 화산재 지층은 제주의 최초 속살을 만나는 듯한 경이로움을 선사한다. 파도가 부딪히는 곳에서는 거북손과 어패류들이 단단히 붙어 있고, 제주 해녀들의 좌판에는 멍게와 해삼이 놓여 있다. 이 거대한 자연 앞에서 인간의 삶은 한없이 겸손해진다.
용머리해안을 거닐며 사진을 찍는 한 시간 동안, 이 땅과 가장 잘 어울리는 음식은 단연 고사리해장국이다. 화산 토양의 숙명으로 물과 곡식이 부족했던 제주에서 오랜 기간 제주를 지탱해 온 두 가지 작물은 고사리와 메밀이었다. 척박한 화산암에서도 뿌리를 내리는 고사리는 제주 생태계와 식재료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독성이 있지만 삶아서 말리면 독성과 쓴맛을 제거할 수 있어 예부터 제주 사람들의 식탁에 올랐다. 특히 먹을 것이 부족했던 제주에서 고사리의 귀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제주 경찰로 발령받은 여동생의 안내로 방문한 제주에서, 고사리는 두세 번 수확할 수 있는 귀한 식재료이다. 고사리해장국은 제주 사람들의 ‘소울푸드’로, 논농사가 어려운 제주에서 돼지는 중요한 가축이었다. 돼지뼈로 우려낸 육수는 모자반을 넣으면 몸국, 뼈를 넣으면 접작뼈국, 그리고 고사리를 넣으면 고사리해장국이 된다. 육개장에 소고기 대신 고사리가 사용되듯, 고사리는 풍부한 식감과 질감을 제공하며, 여기에 메밀가루를 더하면 걸쭉하고 감칠맛 나는 고사리해장국이 완성된다.
메밀 전분이 풀어져 걸쭉한 국물은 자극적이지 않고 구수하며, 제주 사투리로 ‘베지근하다’고 표현되는 깊고 담백한 맛을 자랑한다. ‘베지근하다’는 기름진 맛이 깊으면서도 담백하여 속을 든든하게 채워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맛을 제대로 칭찬하는 최상급 표현이다. 밥 한 공기를 말면 더욱 걸쭉해지는 고사리해장국은 입에 걸리는 것 없이 술술 넘어가며, 척박한 땅에서도 끈질기게 생명을 이어온 제주 사람들의 담백하고 유순한 맛을 담고 있다. 유채꽃이 피어나는 산방산과 그 발아래 용머리해안을 바라보며, 100만 년 전의 제주를 고사리해장국 한 그릇으로 온전히 느낄 수 있다. 이 감사한 순간에 식당 주인장, 그리고 타향살이를 견디며 언니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준 여동생과 함께 “폭싹 속았수다”라고 말하며 수고로움을 나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