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여권 순위를 매기는 헨리 여권지수(Henley Passport Index)가 만들어진 지 20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여권이 세계 최강국 1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다. 과거 2014년에는 부동의 1위를 차지하며 그 위상을 공고히 했던 미국 여권의 현재 위상은 공동 12위로 내려앉았다. 이는 말레이시아와 같은 순위이며, 전 세계 227개 목적지를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었던 과거와는 현저히 다른 결과다. 이러한 여권 파워의 하락은 단순한 순위 변동을 넘어, 국제 사회에서 미국의 영향력 변화와 함께 새로운 지정학적 역학 관계의 가능성을 시사하며 그 배경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이번 헨리 여권지수 순위의 주목할 만한 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변화하는 여행 자유도 및 각국의 외교 관계에 대한 미묘한 반영으로 볼 수 있다. 과거 미국 여권이 누렸던 압도적인 지위는 단순히 경제력이나 국력의 크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이 맺고 있는 국제적인 관계망과 외교적 영향력의 정도를 수치화한 결과였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의 국제 정세 변화와 각국의 정책 조정은 이러한 여권 파워의 지형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미국과 특정 국가들 간의 관계 변화, 그리고 팬데믹 이후 재편된 글로벌 여행 트렌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국 여권의 순위 하락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헨리 여권지수가 전 세계 227개 목적지에 대한 여행 자유도를 평가 기준으로 삼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미국 여권의 상대적 순위 하락은 특정 국가들과의 비자 협정이나 여행 규제에 있어 이전과 같은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여권 파워 순위의 변화는 향후 미국 외교 정책 및 국제 관계 설정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미국 여권이 세계 최강국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상황은, 과거와 같은 일방적인 외교적 영향력 행사보다는 보다 상호주의적이고 협력적인 관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다른 국가들과의 적극적인 외교적 소통을 통해 여행 자유도를 높이고 상호 신뢰를 구축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미국 여권은 다시금 세계 최고 수준의 여행 자유도를 회복하며 국제 사회에서의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여권 파워의 변화는 개별 국가의 경쟁력을 넘어, 글로벌 협력과 상호 이해 증진을 위한 새로운 동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