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른 내수 경기 침체와 소상공인들의 어려운 경영 환경은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소비를 촉진하고 소상공인들의 매출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국 단위의 대규모 소비 축제, ‘동행축제’가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했다. 지난 9월 한 달간 진행된 이 행사는 총 6634억 원에 달하는 기록적인 매출을 달성하며, 경제 회복의 희망을 보여주었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소비 심리 위축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인 전략을 펼쳤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행사는 온라인 판매전과 오프라인 판매전을 통해 직접적인 매출 증진을 꾀하는 동시에,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사랑상품권 판매를 통해 내수 시장 전반에 온기를 불어넣었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6307억 원이라는 압도적인 매출을 기록했으며,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도 327억 원의 성과를 거두었다. 여기에 더해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이 판매되면서 침체된 소비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온라인 판매전은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 다양한 채널에서 진행된 이 판매전은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과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을 통해 주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 롯데온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 이상 매출이 증가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에서도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동행축제 대표상품으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전국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경기 회복에 힘을 보탰다. 이번 축제는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소상공인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지역 행사 비중을 대폭 늘렸다. 전체 오프라인 행사 중 비수도권이 76%, 인구감소 지역이 24%를 차지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집중했다. 제주 개막식은 APEC 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진행되어 1만 8000명이 방문하는 성황을 이루었고, 이틀간 진행된 판매전에서는 제주 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해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판매전 역시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해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이 함께 성장하는 유통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또한, 소비 촉진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도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에서 5만 원 이상 카드 결제 시 추첨을 통해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에는 1000만 명이 응모하며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역시 상생 기획전, 경품 이벤트, 캐시백 및 할인 혜택 강화 등을 통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와 골목상권 활성화에 앞장섰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할인 쿠폰과 더불어 최근 집중호우 피해를 본 지역의 가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추가 할인 쿠폰을 제공하며 소외된 지역 상권 회복에도 힘을 보탰다.
이러한 ‘동행축제’의 성공적인 결과는 단순히 소비 진작을 넘어, 소상공인들에게 희망을 주고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밝히며, 앞으로도 이러한 소비 촉진 행사를 통해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꼼꼼히 준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다가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는 기존의 할인 축제들을 통합한 대규모 국가단위 할인 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이 예정되어 있어, 소비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