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9월 유엔안보리 의장국으로서 한국 최고지도자 최초로 안보리 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AI와 국제평화·안보’라는 의제를 제시한 것은, 파괴적 혁신을 동반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고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근본적인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더 이상 AI 기술 발전이 야기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간과할 수 없다는 경고이며,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과 규범 마련의 필요성을 역설한 것이다. 이처럼 이재명 대통령의 3박 5일간의 유엔 외교는 이러한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천명하는 자리였다.
이 대통령은 먼저 세계 최고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을 만나 최첨단 미래산업인 인공지능(AI)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AI 인프라 구축을 통해 한국을 아태지역 허브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는 국민의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구체적인 솔루션이다. 또한, 유엔총회 연설에서는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력을 강조하며 국제사회에 ‘빛의 이정표’가 되겠다고 선언했고, 적대와 대립으로 파탄에 빠진 남북 관계 회복을 위해 체제 존중, 교류, 관계 정상화, 비핵화의 ‘END’ 이니셔티브를 제시하며 ‘평화공존과 공동 성장’의 새 시대를 열어가자고 제안했다. 특히 비핵화 진전과 무관하게 북·미 관계 정상화를 수용한다는 창의적인 제안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만남을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유엔 비판과 자국 이기주의 연설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 대통령은 자유, 인권, 포용, 연대의 가치를 수호하는 책임 강국으로서 대한민국이 거주하는 내외국인 모두를 동등한 구성원으로 존중할 것을 선언했다. 또한, 기후·환경 문제 해결에 모범을 보이며 ‘원조하는 나라’로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고 ‘함께하는 더 나은 미래(Better Together)’ 건설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처럼 이 대통령은 유엔안보리 의장국으로서 AI라는 미래 기술의 규범 형성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과시하며 한국의 신장된 외교력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 대통령은 폴란드, 체코, 이탈리아, 우즈베키스탄 등 다수 국가 정상들과의 양자 회담을 통해 국익 증진 세일즈 외교를 펼쳤다. 폴란드와는 K2 전차 수출을 넘어 잠수함, FA-50 전투기 등 방산 협력 확대를 논의했고, 체코와는 관광 및 원전 사업 협력을, 이탈리아와는 방산, AI, 청정에너지, 우주항공 분야 협력을, 우즈베키스탄과는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키고 인프라 및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을 논의했다. 이는 한국 경제의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국제 사회에서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려는 노력이다.
또한, 한국 대통령 최초로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대한민국 투자 서밋’을 개최하여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정책을 제시했다. 국방비 증액을 통한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불공정 지배구조 시정 및 시장 투명성 제고, 세금 제도 개혁, 확장 재정정책을 통한 신산업 육성 등을 통해 투자를 유치하고 한국 금융과 증시의 부흥을 모색했다.
이처럼 이재명 대통령의 유엔 외교는 세계 외교 무대에 한국의 국가 위상을 떨치고 국민들에게 자부심과 미래 경제에 대한 희망을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인 관세 공세와 같은 경제적 난관, 그리고 10월 경주에서 개최될 APEC 정상회의 준비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들이 남아있다. 특히 APEC 정상회의에서는 다수 정상의 방한과 함께 한미, 한중 정상회담, 그리고 미중 정상회담까지 개최될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준비와 함께 이를 북핵 문제 해결 및 남북 관계 개선으로 활용할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