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한국 문화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어와 한글의 위상 또한 재조명되고 있다. 87개국에 설치된 세종학당을 통해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다는 사실은 한글이 더 이상 우리만의 전유물이 아님을 명확히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긍적적인 흐름 속에서도 언어생활의 질적 저하와 문화적 고립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언어의 순수성과 명확성이 훼손될 경우, K-문화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을 미래를 이끌어갈 문화적 자산으로 육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추진을 발표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한국어와 한글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이를 세계 속에서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의 의지를 밝혔다. 김 총리는 한글이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분명히 알려진 세계에서 유일한 문자이며, 인류의 빛나는 지적 성취로 평가받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한글이 가진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우수성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하는 동시에, 우리 문화의 근간으로서 한글의 중요성을 부각하는 발언이었다.
특히 김 총리는 한글이 단순한 문자 체계를 넘어 백성을 향한 사랑과 포용, 혁신의 정신에서 탄생한 결과물임을 역설했다. 훈민정음 머리글에 담긴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마음과, 문맹 퇴치를 위해 유네스코에서 수여하는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은 한글에 깃든 인류애의 증거라고 설명했다. 또한,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목숨을 걸고 한글을 지켜낸 선조들의 발자취를 기억하며, 한글이 민족 정신의 버팀목이 되었음을 상기시켰다.
이제 한국어와 한글은 K-팝의 노랫말,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깊은 감동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유튜브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즐기려는 세계 청년들의 모습은 이러한 현상을 생생하게 증명한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더욱 가속화하기 위해 언론과 뉴미디어를 활용한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확대하고, 한글을 활용한 상품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하여 한글의 실용적 가치를 높일 예정이다. 나아가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하여 한국어 기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고, APEC과 같은 국제 행사에서 한글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며 K-문화의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