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연휴를 보내며 문화생활에 대한 갈증을 느낀 이들이 많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공연·전시 할인권’ 2차 배포를 시작했다. 이는 바쁘다는 이유로 잠시 미뤄두었던 공연과 전시 관람을 통해 문화적 갈증을 해소하고 풍요로운 연말을 보낼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정책이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총 36만 장의 공연 할인권과 137만 장의 전시 할인권을 대상으로 하며, 9월 25일부터 시작되었다. 이전 1차 발행과 달리, 2차 할인권은 사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몇 가지 변화를 적용했다. 가장 큰 변화는 일주일의 사용 유효기간이 설정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미사용 할인권은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되어 보다 많은 국민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 이는 1차 발행 시 6주의 사용 기간 동안 발급만 하고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높았던 점을 개선하여 실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구체적인 할인권 발급 및 사용 일정은 다음과 같다.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할인권이 발급되며, 발급받은 할인권은 그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할인권은 자동 소멸되며, 매주 목요일에 새로운 할인권이 발행되므로 사용하지 못했더라도 다음 차시에 다시 발급받을 수 있다. 할인권은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7개 온라인 예매처에서 받을 수 있다.
할인 혜택은 온라인 예매처별로 공연은 1만 원, 전시는 3천 원이며, 매주 인당 2매씩 발급된다. 결제 1건당 할인권 1매가 적용되며, 할인권 금액보다 티켓 가격이 낮더라도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할인이 적용되므로 여러 장의 티켓을 구매하여 최소 결제 금액 이상을 충족하면 할인권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권은 공연 1만 5천 원, 전시 5천 원으로 책정되어 지역 간 문화 향유 격차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모든 공연 및 전시가 할인 적용 대상은 아니다. 공연 분야에서는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클래식), 한국음악(국악), 무용 등이 포함되지만 대중음악과 대중무용은 제외된다. 전시 분야에서는 전국 국·공립, 사립 미술관 등 시각예술 분야 전시와 아트페어, 비엔날레가 대상이며 산업 박람회 등은 제외된다.
이러한 정책은 문화생활이 비용 부담으로 인해 망설여졌던 많은 국민들에게 공연과 전시 관람의 문턱을 낮추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매주 새롭게 발급되는 할인권을 통해 이전에는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다채로운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경험하고, 연말 시즌을 맞아 마음의 양식을 쌓는 소중한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흐린 하늘이 계속되는 요즘,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공연이나 전시 관람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 이번 문화 할인권 혜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풍요로운 문화생활을 누리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