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내수 시장의 침체는 소상공인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 지난 9월 ‘동행축제’는 6634억 원이라는 상당한 매출을 기록하며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는 단순히 숫자를 넘어, 침체되었던 소비 심리가 되살아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내수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인 매출 증진이라는 두 가지 핵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판매전을 중심으로,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전국적인 연계 행사 및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소비 분위기를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먼저, 온라인 판매전은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 이상 매출이 증가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대표 상품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이는 온라인 플랫폼이 소상공인 제품 판매에 있어 강력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는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이번 축제는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상권 활성화를 위해 해당 지역의 행사 비중을 76%로 늘린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지역 경제 회복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제주 개막식과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 또한 각각 1만 8000명 방문, 8500만 원 매출, 1억 원 매출이라는 성과를 올리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이와 더불어, 상생소비복권과 민간 기업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는 소비 촉진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했다. 1000만 명이 응모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와 7개 TV홈쇼핑사의 상생기획전, 7개 카드사의 캐시백 및 할인 혜택 강화 등은 소비자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및 특별재난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할인 쿠폰을 발급하며 지역 상권 회복에 동참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전하며, 다가오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러한 지속적인 소비 촉진 노력은 향후 내수 시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