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게임 산업의 위상이 ‘세계 3위의 게임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현장 간담회가 15일 개최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게임업체 크래프톤의 복합 문화 공간 ‘펍지 성수’를 직접 방문하며, 게임 산업의 현황과 미래 발전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이는 대통령이 주재한 첫 번째 게임 분야 간담회로, 게임 산업을 단순한 오락거리가 아닌 국가 경제 성장의 중요한 동력으로 인식하고, 관련 정책 지원의 필요성을 부각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이번 간담회가 열린 배경에는 한국 게임 산업이 직면한 여러 과제가 자리하고 있다. 과거의 명성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글로벌 시장 환경 속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산업 전반의 인식 개선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게임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낮은 위상으로 인해 잠재된 산업적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게임 산업의 몰입도를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결합하여 국부 창출 및 일자리 마련의 기회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재명 대통령은 ‘게임에 대한 인식과 마인드 셋이 바뀔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게임의 몰입도를 산업적으로 재인식하고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했다. 또한, 게임 산업을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밝히며, 관련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게임 업계가 요구하는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졌다. 이 대통령은 이에 대해 ‘양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개발자 및 사업자의 요구와 더불어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양측의 의견을 균형 있게 반영하여 지혜로운 해결책을 모색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다.
이어진 비공개 토의에서는 게임 업계 관계자들이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주변국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AI 기술 등을 통해 작은 회사의 창의력을 증대시킬 기회가 생기고 있음을 언급하며, 게임 산업의 진흥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정욱 넥슨 대표는 게임이 전략 품목으로 지정되어야 하며, 혁신을 통한 글로벌 진출을 위해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인디게임 업체 원더포션의 유승현 대표는 소규모 지원이라도 더 많은 팀에게 제공될 경우 효과가 클 것이라는 제안을 내놓았다. 이 대통령은 참석자들과 함께 노동 집약적인 작업, 문화 콘텐츠 수출에서의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원작 저작권 및 멀티 유즈 여부 등 다양한 측면을 꼼꼼히 논의하며 지원 확충이나 규제 완화의 필요성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을 나눴다고 강유정 대변인은 전했다. 이러한 논의들은 향후 게임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에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