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여름, 시원함을 찾아 헤매는 사람들의 마음은 옛날에도 다르지 않았다. 더위를 쫓는 오싹한 공포 이야기들이 TV를 장악했던 ‘납량특집’ 프로그램처럼, 음식의 영역에서는 빙수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하지만 수십 년 전, 십 원짜리 동전으로 겨우 맛볼 수 있었던 빙수는 단순한 간식을 넘어, 팍팍한 시절 속 서민들에게 작은 위안이자 꿈같은 존재였다. 1970년대, 학교 앞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 에펠탑 모양의 주물 수동 빙수기계로 만든 십 원짜리 빙수는, 돈이 없어 제대로 즐기지 못했더라도 그 만드는 광경만으로도 침을 흘리게 하는 신비로운 존재였다.
당시 빙수 한 그릇은 정교하게 만들어진 고급 디저트가 아니었다. 주인이 아이스박스에서 얼음을 꺼내 기계에 넣고 손잡이를 돌리면, 얼음 알갱이가 깎여 그릇에 수북이 쌓였다. 여기에 색소가 든 병을 뿌려 숟가락과 함께 건네받으면, 합판으로 만든 허름한 탁자에 앉아 먹었다. 시내 제과점에서 파는 팥빙수나 ‘후루츠칵테일’ 빙수는 이와는 차원이 다른 고급스러운 맛을 선사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처럼 쌓인 얼음이 금세 무너져 내리듯, 달콤한 순간은 늘 짧게 느껴졌다.
이러한 빙수의 위상은 1990년대 이후 급변했다. ‘눈꽃 빙수’의 등장과 함께 빙수는 더 이상 여름에만 즐기는 특별한 음식이 아닌, 사계절 별미로 자리 잡았다. 이제는 빙수 전문 카페가 곳곳에 생겨났고, 호텔에서는 십만 원에 육박하는 최고급 빙수를 경쟁적으로 선보이며 ‘빙수 왕국’이라 불릴 만한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이 ‘빙수 왕국’의 진짜 심장부는 다름 아닌 부산이었다. 부산의 국제시장, 광복동, 용호동 등에는 빙수 거리라 불릴 만한 곳들이 있으며, 특히 국제시장에서는 빙수 한 그릇을 맛보기 위해 긴 줄을 서야 할 정도다.
부산이 빙수의 도시가 된 이유는 명확하다. 생선을 얼려 보관해야 했던 생업의 특성상 얼음이 흔했고, 더운 날씨에 시원한 빙수에 대한 수요가 절실했기 때문이다. 부산 시민들이 가장 사랑하는 빙수는 화려하고 요란한 고명이 올라간 것이 아닌, 수수하고 담박한 옛날 빙수다. 국밥집에 ‘할매’라는 이름이 붙듯, 부산의 빙수 역시 ‘할매 빙수’로 불리며 정겨움을 더한다. 부산 빙수는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고명 대신, 푸짐하게 팥을 얹어낸다. 얇게 깎아 사르르 녹는 ‘눈꽃 빙수’의 원조가 부산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많은 이들은 소박하고 투박한 부산식 ‘할매 빙수’를 더 선호한다. 너무 달지 않은 팥이 마치 할머니의 정처럼 얼음 위로 가득 올려져, 한 그릇을 먹고 나면 단순한 간식을 넘어 든든한 한 끼 식사처럼 느껴지는 빙수 말이다.
이처럼 빙수에 대한 향수는 먼 곳에 사는 이들에게도 이어져, 미국에 사는 한 친구는 여름이면 몇 시간씩 차를 몰아 냉면을 먹으러 갈 뿐 아니라, 팥빙수 한 그릇도 꼭 사 먹는다고 한다. 그는 서울에서 살았던 동빙고동, 조선시대 얼음 창고가 있던 동네를 떠올리며, 겨울이면 한강에 나가 얼음 부역을 했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대 이야기를 이야기한다. 이는 단순히 옛날이야기가 아니다. 조선시대에는 겨울에 캐낸 한강 얼음을 서빙고, 동빙고에 저장해 두었다가 여름에 궁으로 운반해 사용했다. 이 얼음은 단순히 차가운 음료를 만드는 것을 넘어, 궁궐의 음식 재료 부패를 막는 냉장고 역할을 했다. 서민들에게 여름 얼음은 궁에서나 볼 수 있는 귀한 호사였으며, 상상 속의 존재에 가까웠다. 얼음이 얼마나 귀했는지를 실감하게 하는 대목이다. 이제, 여름이 저물기 전에 얼음으로 만든 최고의 음식, 팥빙수를 맛보기 위해 다시 부산으로 향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