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고 알아보기 어려운 글씨로 뒤덮인 화장품 패키지가 소비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저해하는 고질적인 문제가 새로운 해결책을 맞이하고 있다. 화장품 e-라벨 사업이 확대되면서, 소비자는 물론 제조사까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정보 제공 방식의 변화가 기대된다. 과거 화장품 용기에는 제품명,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필수 표기 정보뿐만 아니라 성분, 보관법 등 방대한 양의 정보가 작은 글씨로 빼곡히 인쇄되어 있어 소비자들이 정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러한 상황은 소비자의 알 권리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패키지 디자인 및 공간 활용 측면에서도 비효율을 야기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의 협력으로 ‘화장품 e-라벨’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 사업은 화장품의 필수 표기 정보를 디지털 라벨, 즉 QR코드를 통해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소비자는 이제 제품 패키지 뒷면의 작은 글씨를 더듬어 정보를 찾을 필요 없이, 휴대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는 것만으로 제품의 상세 정보를 큰 글씨로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정보 가독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특히 시력이 약하거나 작은 글씨를 읽기 어려워하는 소비자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제품명,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소비자가 자주 찾는 정보는 글자 크기를 확대하여 제공하며, 안전 정보나 사용법 등 분량이 많은 추가 정보는 QR코드 내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효과적으로 압축시킨다.
화장품 e-라벨 도입으로 인해 소비자의 정보 접근성 향상뿐만 아니라 환경 보호 효과도 기대된다. 정보 제공 면적이 축소되면서 포장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포장재 자원 절약을 통한 친환경 경영에 기여할 수 있다. 실제로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 실시 이후, 2024년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진행되는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확대되어 13개사 76개 품목이 추가되었다. 1차 시범 사업에서 19개 제품에 시범 운영한 결과, 소비자들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얻었으며, 2025년에는 제품군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디지털 취약계층을 고려하여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까지 예정하고 있어, 모든 소비자가 정보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전망이다. 이는 화장품을 안전하고 현명하게 사용하기 위한 소비자들의 노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동시에, 제조사에게는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정보 전달 방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