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건설 현장의 고용 불안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건설 일용근로자들은 일자리 감소와 소득 불안정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으며, 현장 지원 관계자들 역시 근로자들의 복지 증진 및 안전 확보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단순히 개별 현장의 문제를 넘어, 국가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건설 산업 전반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 현장의 복합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김민석 국무총리는 10일 서울 구로구 새벽 인력시장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정부의 정책적 지원 의지를 전달했다. 김 총리는 건설 근로자들에게 격려 물품을 전달하는 자리에서 “건설 경기 침체 등으로 어려운 상황이지만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하며, 고용 불안 해소와 소득 증대를 위한 정부의 노력을 약속했다. 또한, 현장 지원 관계자들에게는 정부 지원 정책을 건설 근로자들이 충분히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안내와 홍보를 당부했다. 더불어, 건설 현장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점검과 함께 노동자 안전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했다. 이는 건설 현장을 더욱 안전한 일터로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김 총리는 징검다리 연휴에도 불구하고 건설 근로자들을 위해 헌신하는 새벽시장 자원봉사센터 관계자들의 노고를 치하했다. 구로구청의 지원 이전부터 10여 년간 자원봉사를 이어온 이들의 헌신에 깊은 감사를 표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는 민간의 자발적인 노력을 정부가 격려하고 지원함으로써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정부는 이와 더불어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하고, 건설 근로자와 현장 지원 관계자 모두가 보람을 느끼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 추진에 더욱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결실을 맺을 경우, 건설 현장의 고용 불안정성은 점차 완화되고, 보다 안전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지원을 통해 건설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