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AI) 도입을 통한 혁신이 강조되고 있지만, 정작 많은 공공 서비스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서 기본적인 데이터 축적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장하며, 체계적으로 쌓이고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통합된 데이터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장의 많은 공공 서비스는 이러한 데이터 기반 마련에 소홀하며, 이는 AI 전환을 앞둔 중요한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AI 전환이 단순히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달성될 수 없다고 강조한다. 그는 ‘로그(Log)’ 시스템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현재 공공 서비스의 데이터 관리 실태를 꼬집는다. 로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순서대로 기록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 로그인, 파일 삭제, 시스템 오류 등 다양한 사건의 데이터를 담는다. 웹사이트 운영에 있어 로그는 사용자들의 메뉴 이용 패턴을 파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어떤 메뉴가 자주 사용되는지 알면 이를 홈페이지 상단으로 옮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페이지 로딩 속도가 느린 경우(예: 8초 이상 소요) 즉각적인 개선을 통해 사용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실제 통계에 따르면 3초 이상 걸리는 웹사이트에서 40%의 사용자가 이탈하며, 5초 이상이면 사실상 ‘죽은 사이트’로 간주된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수많은 공공 서비스 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는 이러한 로그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어떤 메뉴가 많이 쓰이는지, 페이지 로딩 속도는 얼마나 걸리는지, 혹은 이용자가 불편함을 느껴 중도에 서비스를 포기하는지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파악할 수 없다. 이는 결국 서비스 개선의 기회를 놓치게 만들고, 국민들이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불편함을 겪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AI는 ‘데이터를 먹고 자란다’는 점을 고려할 때, AI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업무 처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데이터가 쌓이도록 하는 시스템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박 의장은 공무원들이 AI 비서를 활용하여 밤새 관련 문서를 검색하고, 다른 부서와의 시너지를 제안받으며, 회의록을 기반으로 할 일, 책임자, 마감일 등을 자동으로 정리하여 캘린더에 표기하는 미래를 제시한다. 이러한 효율적인 업무 처리는 곧 데이터의 체계적인 축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AI 전환은 단순히 기술 도입을 넘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 클라우드 기반 환경 구축, 그리고 무엇보다 ‘스마트하게 일할 준비’가 필요하다. 로그가 없는 웹페이지를 아무리 오래 운영한들 서비스 개선은 요원하며, AI 시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축적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토대부터 단단히 다져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