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히 심화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는 대한민국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대형 화재와 붕괴사고 등 복합적인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국가 차원의 보다 강력하고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 구축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국가적 요구와 정부의 과학기술 및 디지털 전환 기반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라는 주요 국정과제 추진에 발맞춰, 소방청은 기존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다가오는 미래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서 마련되었다. 신설된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소방 현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 업무를 총괄한다. 더불어, 소방 정책 전반에 인공지능을 비롯한 최신 과학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과제를 발굴하고, 해당 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이는 곧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통해 재난·안전 대응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러한 조직 개편과 첨단 기술의 활용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안전 서비스 구현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고 강조하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를 통해 소방청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재난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변화하는 재난 환경 속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더욱 굳건히 지켜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