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소비 부진 속에서 내수 시장의 어려움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한 ‘9월 동행축제’는 침체된 소비 심리를 되살리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선보였다. 전국 단위의 소비 촉진 행사인 이번 축제는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판매 채널과 풍성한 할인 혜택을 통해 내수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했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더불어 소비 분위기 확산을 위한 전국적인 연계 행사 및 다양한 이벤트로 구성되었다. 먼저, 온라인 판매전에는 총 2만 7천여 개 사가 참여했으며,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6,307억 원이라는 막대한 매출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롯데온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은 동행축제의 대표 온라인 판매전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며 주목받았다.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6,700만 원),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6,200만 원) 이상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롯데온 입점 이후 최고의 실적을 거두었다. 쿠팡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높은 관심을 받으며,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동행축제의 대표 상품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 등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이번 축제는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목표로 삼아,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상권 및 소비자 접점을 넓히는 데 집중했다. 전체 오프라인 행사 144곳 중 비수도권이 110곳(76%)을 차지했으며, 인구감소지역에서도 34곳(24%)에서 행사가 진행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제주에서 열린 개막식은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8월 30일부터 9월 5일까지 진행되어 1만 8천여 명이 방문하는 등 성황을 이루었다. 개막식과 함께 진행된 제주지역 소상공인 판매전에서는 51개 사가 참여하여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이 가운데 8개 업체는 첫날 판매를 모두 완료하는 기염을 토했다. 롯데백화점(잠실점)에서 열린 상생 판매전 역시 9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한 이 판매전에서는 제품 구매 시 온누리상품권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통해 대기업,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유통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더불어,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의 소비 촉진을 위한 상생소비복권과 민간기업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 또한 주목받았다. 상생소비복권은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매장에서 5만 원 이상 카드 결제 시 추첨을 통해 총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이벤트로, 9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 진행되어 1천만 명이 응모하는 등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7개 TV홈쇼핑사는 상생 기획전과 경품 이벤트, 적립금 추가 적립 등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다양한 특별 혜택을 제공했으며, 7개 카드사는 백년가게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이용 고객에게 캐시백과 할인 혜택을 강화하여 골목상권 활성화에 힘을 보탰다. 배달의민족은 개막식이 열린 제주 전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주문 5,000원 할인 쿠폰을 발급했으며, 최근 집중호우 피해를 입은 30여 곳의 특별재난지역 가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동일한 할인 쿠폰을 추가로 제공하며 소외된 지역 상권 회복에도 힘썼다.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9월 동행축제에 참여해 준 국민에게 깊이 감사하며,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달 말 정부는 동행축제, 코리아세일페스타, 듀티프리페스타 등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하여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대규모 국가 단위 할인 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개최할 예정”이라며,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꼼꼼히 준비하겠다”고 밝혀 향후 내수 진작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