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시대적 과제 앞에서 석탄발전소 폐지는 피할 수 없는 선택이 되고 있다. 특히 서부발전 태안석탄발전소 1호기의 가동 종료를 앞두고, 기존 발전소 폐지가 가져올 일자리 감소와 산업 현장의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는 곧 청정전력 전환 정책이 현실적인 어려움에 직면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김성환 장관은 10일 서부발전 태안석탄발전소를 직접 방문하여 노후 석탄발전기 폐지 추진 현황과 산업안전 관리 실태를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새 정부의 첫 석탄발전 폐지 사례인 태안석탄 1호기가 오는 12월 가동을 종료함에 따라, 발전소 폐지가 인력 운영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발전소 폐지에 따른 인력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자리 상실 없는 전환’을 핵심 기조로 삼고 있다. 태안석탄 1호기에서 근무하는 총 129명의 발전 인력 중 서부발전 본사 소속 65명은 구미 천연가스 발전소로 재배치된다. 또한, 협력업체 소속 64명은 태안 지역 내 다른 석탄발전기로 자리를 옮기게 된다. 이는 기존 인력의 고용 안정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조치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갈등을 줄이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더불어, 정부는 석탄발전소 운영 및 폐지 과정에서의 산업재해 예방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지난 6월 2일 발생했던 고 김충현 씨의 산업재해와 같은 비극적인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강력한 안전 강화 대책을 병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민주노총과 고용안정 협의체, 한국노총과 정의로운 전환 협의체를 구성하여 현장 안전 강화와 노동자 보호를 위한 노사정 협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김성환 장관은 이번 태안석탄발전소 방문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한 녹색 대전환의 신호탄”이자 “정의로운 전환으로 일자리도 반드시 지킬 것”이라는 정부의 확고한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이는 단순한 정책 발표를 넘어,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영향까지 면밀히 고려하며 모든 이해관계자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거대한 목표를 달성하는 동시에, 지역 경제의 안정과 노동자의 안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정의로운 전환’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