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산업화 과정에서 잊히거나 사라진 과거의 산업과 생업, 그리고 그와 관련된 기억들이 현재의 문화와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울산광역시 남구 장생포는 과거 고래 산업의 중심지였으나, 이제는 그 영광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장생포의 고래요릿집들은 단순히 음식을 파는 곳을 넘어, 과거를 애도하고 향수를 회상하는 의례의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고래 고기 한 점을 통해 사라진 산업과 공동체의 기억을 되새기는 행위는 과거를 단순히 소비하는 것을 넘어, 현재와 미래를 준비하는 문화적 동력이 되고 있다.
장생포의 역사는 선사시대부터 시작된다. 울산 반구대암각화에 새겨진 고래잡이 그림과 곳곳에서 발견되는 고래 뼈, 유물들은 이곳이 예로부터 고래가 많이 모여들던 깊은 바다였음을 시사한다. 동해와 남해가 만나는 지리적 이점과 태화강, 삼호강 등에서 유입되는 풍부한 먹이는 고래들에게 이상적인 서식 환경을 제공했으며, 특히 귀신고래가 자주 출몰하는 단골손님이었다. 이러한 자연적 조건은 장생포를 해양 산업, 특히 고래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기반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장생포는 고래 잡이와 관련된 산업으로 인해 큰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어업이 성행하며 ‘개가 만 원 지폐를 물고 다녔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경제적으로 풍족했으며, 수출입품을 실어 나르는 대형 선박들이 즐비했고 6~7층 규모의 냉동 창고가 빼곡했다. 1973년 남양냉동, 1993년 세창냉동 등 냉동 창고 산업도 발달했으나, 경영 악화로 문을 닫는 시설들이 생겨나며 폐허로 남게 되었다. 이러한 과거의 흔적들은 장생포의 산업적 영광과 쇠퇴를 동시에 보여주는 증거들이다.
폐허가 된 냉동 창고는 2016년 울산 남구청이 건물과 토지를 매입한 후,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2021년 장생포문화창고로 재탄생했다. 총 6층 규모의 이 복합 예술 공간은 소극장, 녹음실, 연습실 등을 갖추어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거점이 되고 있으며, 특별 전시관, 갤러리, 상설 미디어아트 전시관 등을 통해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제공한다. 특히 2층 체험관의 ‘에어장생’ 항공 체험 프로그램과 종이 고래 접기 등은 아이들과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며,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미디어아트 전시는 한국 전통 회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감성을 일깨운다. 수십 년 된 냉동 창고 문을 그대로 활용하여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는 업사이클링의 좋은 사례를 보여준다.
무엇보다 인상적인 것은 2층에 상설 전시된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이다. 이곳은 울산 석유화학단지를 중심으로 중화학공업이 집약되어 대한민국의 산업 발전을 이끌었던 역사와 과정을 보여준다. 굴뚝의 매캐한 연기와 함께했던 울산의 산업 발전 이면에는 일본의 ‘이타이이타이병’과 같은 극심한 중금속 중독 질환, 이른바 ‘온산병’이 존재했다. 1980년대 온산국가산업단지에 집중된 제련소,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배출된 중금속으로 인해 주민들이 고통받았던 역사는 산업 발전의 그림자를 보여주며, 과거의 잘못된 관행에서 배우는 중요성을 일깨운다.
장생포의 고래 산업은 1946년 최초 조선포경주식회사 설립 이후 약 100년간 이어져 왔으나, 1986년 IWC의 상업 포경 금지 결정으로 인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그러나 ‘고래고기는 장생포에서 먹어야 제맛’이라는 말이 있듯, 장생포에서는 여전히 고래고기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 대부분 혼획된 밍크고래 등을 유통하지만,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희소성과 금지의 역설’은 고래고기를 더욱 매력적인 대상으로 만든다. 12만 원짜리 ‘모둠수육’은 육고기와 닮은 외형 속에 살코기, 껍질, 혀, 염통 등 다양한 부위를 맛볼 수 있으며, 특히 ‘우네’와 ‘오배기’ 같은 고급 부위는 고래 특유의 맛과 식감을 극대화한다. 다양한 소스와 함께 맛보는 고래고기는 부드러운 식감부터 꼬들꼬들한 식감까지 다채로운 매력을 선사하며, 이는 단순히 과거를 추억하는 것을 넘어 현재의 식문화를 풍요롭게 한다.
결론적으로 장생포의 고래고기 문화는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선다. 이는 사라진 산업과 생업에 대한 ‘애도와 향수’의 정서가 담긴 의례다. 고래로 꿈을 꾼 어부들, 고래 고기로 단백질을 보충했던 피란민들, 그리고 한강의 기적을 일군 산업 역군들을 기리는 문화적 지층이 그 안에 녹아있다. 장생포의 고래는 사라졌지만, 그들의 시간과 기억은 고래고기라는 형태로 우리 곁에 남아있다. 우리는 여전히 고래의 시간을 씹고, 도시의 기억을 삼키며, 이 기억들을 바탕으로 공동체의 내일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