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물가 시대 속에서 가계 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는 소비 패턴의 변화와 더불어 예상치 못한 지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한 지원책의 일환으로 ‘상생페이백’ 사업을 시작한 배경에는 국민들의 늘어난 소비 부담을 실질적으로 완화해주고자 하는 정책적 의지가 담겨 있다. 특히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의 카드 사용액이 이전 평균보다 증가한 국민들에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통해 환급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침체된 내수 시장 활성화와 더불어 국민들의 소비 여력 확대를 도모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배경 아래 ‘상생페이백’은 구체적인 환급 방식을 통해 국민들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한다. 상생페이백 사업은 2024년도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국민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이 사업은 특정 기간 동안의 카드 소비 증가분을 기준으로 환급액을 산정하는데, 예를 들어 9월 카드 소비액이 늘어난 경우, 증가한 금액의 20%까지 10월에 최대 10만 원씩 환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3개월간 최대 30만 원까지 환급받은 금액은 전통시장·상점가 등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환급된 금액의 유효기간은 지급일로부터 5년이다. 신청 절차는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에 접속하여 본인 인증 후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온누리 앱 미가입자는 별도의 설치 및 가입 절차가 필요하다. 신청 기간은 9월 15일(월) 9:00부터 11월 30일(일) 24:00까지이며, 9월 20일(토)부터는 5부제 제한 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상생페이백’ 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될 경우, 국민들의 소비 부담 완화와 더불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 증가분에 대한 직접적인 환급은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증대시켜 소비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 또한, 환급받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업체의 결제 수단으로 사용될 경우, 이는 지역 경제 전반에 온기를 불어넣는 동력이 될 것이다. 특히,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 식료품뿐만 아니라 가전, 생활용품 등 다양한 품목을 구매할 수 있으며, 배달앱 ‘땡겨요’와 같은 소상공인 특화 플랫폼에서도 온누리상품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은 환급금의 활용도를 높이고 지역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강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혜택들이 지속적으로 제공된다면, 국민들은 ‘건강한 소비’와 ‘건강한 환급’을 동시에 경험하며 ‘상생’이라는 가치를 실현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