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고금리 상황 속 민생 경제의 어려움이 지속되면서, 정부가 국민들의 소비를 촉진하고 내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다. 특히, 단순히 소비를 권장하는 것을 넘어 ‘복권’이라는 재미 요소를 결합하여 주목받고 있는 ‘상생소비복권’은 소비 진작과 더불어 탈세 방지 및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복합적인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정부가 국민들의 지갑을 열게 하고자 마련한 정책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상생페이백’이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난 7월부터 1차와 2차에 걸쳐 진행되고 있으며, 2차 신청을 앞두고 있다. 이번 2차 지원에서는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전 국민에게 1인당 10만 원의 소비쿠폰이 지급될 예정이다. 이는 ‘회복과 성장의 마중물’이라는 이름처럼 국민들의 소비 여력을 확대하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취지다.
이어 9월부터 시행된 ‘상생페이백’은 본인 명의의 국내 신용·체크카드를 사용하는 국민이 대상이며, 작년(2024년) 대비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 소비가 늘어난 만큼을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제도다. 9월 15일부터 신청을 시작했으며, 25년 11월 30일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이러한 소비 지원 정책들은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국민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소비 심리를 자극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상생소비복권’은 이러한 소비 진작 정책들을 더욱 흥미롭게 만드는 장치다. 상생페이백을 신청하면 자동으로 응모되는 방식이며, 8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의 누적 결제액을 기준으로 5만 원당 1장의 쿠폰이 지급된다. 1인당 최대 10장까지 응모할 수 있으며, 정부는 총 2,025명을 추첨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억 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1등에게는 각 2천만 원의 상금이 주어지며, 2등 50명에게 200만 원, 3등 600명에게 100만 원, 4등 1,365명에게 10만 원이 지급된다. 특히 1등 당첨의 경우, 비수도권 지역에서 5만 원 이상 소비 실적이 있어야 하는 조건이 있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상생소비복권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유의해야 할 점도 있다. 대형마트, 백화점, 유흥업소, 온라인 거래,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 사용한 금액은 복권 응모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는 내수와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전통시장이나 동네 식당 등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업체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실제로 동네 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근처 마트에서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상생소비복권 응모 조건을 훌쩍 넘기는 소비가 이루어졌다. 이는 어차피 해야 할 소비를 혜택과 함께 챙기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임을 보여준다. 전통시장을 방문한 상인은 쿠폰 지급 직후 손님이 늘어난 듯했지만 월말 정산 시 큰 차이는 없었다며, 9월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정책들이 추석을 전후로 경기를 살려주기를 바란다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처럼 정부는 단기적인 소비 진작을 넘어, 국민들에게는 경제적 혜택과 즐거움을, 소상공인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다각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오는 9월 시작되는 2차 소비쿠폰과 더불어 상생페이백, 상생소비복권이 어려운 대한민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국민 모두가 풍성한 가을을 맞이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