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변덕스러운 날씨처럼, 우리 생활 속에서 우표의 존재감도 과거와는 사뭇 달라졌다. 한때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의 손에 쥐어져 있던 우표가 이제는 낯선 존재가 되어버린 현실은 많은 이들에게 아쉬움을 남긴다. 손으로 쓴 편지가 줄어들고 디지털 소통이 일상화되면서, 우표는 단순히 우편 요금을 지불하는 수단을 넘어, 시대의 흐름 속에 잊혀가는 문화유산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과거 우리 삶의 작은 즐거움이었던 우표가 다시 한번 현대인들에게 매력적인 취미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그 가치를 재조명할 필요가 제기된다.
1990년대만 하더라도 ‘우표 수집’은 어린이들의 인기 있는 취미 중 하나였다. 방학 숙제로 우표를 모아 책받침을 만들었던 어린 시절의 기억처럼, 당시 우표 수집은 매우 대중적인 활동이었다. 기념우표가 발행되는 날이면 우체국 앞에 길게 줄을 서서 우표를 구매하는 풍경은 당시 우표가 얼마나 큰 인기를 누렸는지를 짐작게 한다. 마치 최근 유행했던 스티커 모으기처럼, 1990년대 우표는 그만한 위상과 즐거움을 선사했던 것이다.
물론 시대는 변했고, 우표를 직접 접할 기회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하지만 우표 수집은 여전히 그 자체로 충분히 매력적인 취미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우표는 부피가 작아 보관이 용이하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부담 없이 수집을 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년 다양한 주제로 발행되는 기념우표는 수집하는 재미를 더한다. 국내 우표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한다면, 전 세계에서 발행되는 다채로운 우표들을 통해 수집의 세계를 무한히 확장할 수도 있다.
우표는 크게 ‘보통우표’와 ‘기념우표’로 나눌 수 있다. ‘보통우표’는 우편 요금 납부를 주된 목적으로 하며, 수량이 소진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발행된다. 반면 ‘기념우표’는 특정 사건, 인물, 자연, 문화 등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되며, 발행량과 기간이 정해져 있어 보통우표보다 희소성이 높다. 대한민국에서 발행되는 기념우표는 우정사업본부의 고시에 따라 매년 10~20회 정도 다양한 주제로 선보인다. 실제로 2025년에는 총 21종의 기념우표 발행이 계획되어 있으며, 지난 5월 8일에는 가정의 달을 맞아 ‘사랑스러운 아기’ 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이러한 국가적인 기념우표 발행 외에도, 각 지방의 우정청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의 특색을 담은 기념우표를 자체적으로 기획·제작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지난해 11월,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1주년을 기념하여 강원지방우정청과 강원일보사가 협력 발행한 우표첩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은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낸 소중한 기록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태백우체국에서 발행한 ‘별빛 가득한 태백 은하수 기념우표’와 양구군에서 발행한 ‘양구 9경 선정 기념우표’ 등은 강원의 아름다운 자연을 홍보하는 수단으로서도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처럼 우표는 단순한 수집품을 넘어, 발행되는 국가나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담아내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비록 과거와 같은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지는 못하고 있지만, 우표가 가진 고유한 매력과 가치는 분명히 존재한다. 이 소중한 문화유산이 다시 한번 현대인들의 일상 속에서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