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들이 가장 흔하게 겪는 불편함 중 하나는 패키지에 빼곡하게 적힌 작은 글씨로 된 정보 확인이다. 특히 염색약과 같이 사용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유의사항이나 소비기한이 작게 인쇄되어 있어 가독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필요한 정보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해왔다. 이러한 정보 확인의 어려움과 패키지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품 e-라벨’ 정책이 도입되었다.
‘화장품 e-라벨’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사업으로, 제품의 필수 표기 정보를 디지털 라벨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제 소비자는 화장품 패키지 뒷면에서 제품명, 제조 번호, 소비기한 등 자주 찾는 핵심 정보는 확대된 글씨로 더 명확하게 확인하고, 사용 방법, 안전 정보, 제조에 사용된 성분 등 방대한 추가 정보는 QR코드를 스캔하여 모바일 기기로 편리하게 열람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소비자는 작은 글씨를 읽기 위해 애쓰는 수고를 덜고, 제조사는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과거에는 제품명, 영업자 상호, 내용물 용량, 제조 번호, 사용기한, 바코드 등 화장품법에서 정한 모든 표시 정보와 함께 보관법, 제품의 품질 특성 등 부가 정보까지 모두 패키지 겉면에 텍스트로 기재해야 했다. 이로 인해 좁은 면적에 많은 정보가 밀집되어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심각했으며, 특히 기능성화장품의 경우 표시해야 할 정보량이 더욱 많아 부담이 되었다. ‘화장품 e-라벨’은 이러한 필수 표기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세부 정보들을 QR코드 안으로 압축하여, 패키지 겉면의 정보를 간결하게 줄이는 동시에 소비자에게는 더욱 풍부하고 상세한 정보 접근성을 제공한다.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1차 시범 사업 당시 6개사 19개 품목에서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얻어,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다양한 제품군을 포함하여 13개사 76개 품목으로 확대되었다. 시범 사업 대상 제품은 패키지 뒷면에서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 대상 제품입니다.” 또는 “QR코드 스캔으로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와 같은 문구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이 정책은 유효기간이 없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든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향후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까지 예정되어 있어, 정보 습득의 편리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화장품 e-라벨’은 소비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여 건강하고 안전한 화장품 사용을 돕는 중요한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