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건국 4357주년을 기념하는 개천절 경축식이 다가오고 있지만, 이를 둘러싼 세대 간, 계층 간 이해 부족은 종종 이 역사적 의미를 퇴색시키고 있다. 매년 반복되는 기념행사 속에서, 과거를 되새기는 것을 넘어 현재와 미래를 향한 공동체의 화합을 어떻게 이끌어낼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올해 제4357주년 개천절 경축식은 바로 이러한 물음 속에서 ‘우리의 빛 더 멀리 더 널리’라는 주제를 내세우며,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를 이롭게 하는 홍익인간 정신의 확장성을 조명하려 한다.
이번 경축식은 10월 3일 오전 10시, 세종문화회관에서 국가 주요 인사, 정당 및 종단 대표, 주한 외교단, 개천절 관련 단체, 각계 대표, 시민 등 1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하게 개최된다. 홍익인간 정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우리의 빛 더 멀리 더 널리’라는 주제 아래, 대한민국이 가진 긍정적인 영향력과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로 기획되었다.
행사는 다채로운 순서로 구성되어 풍성한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먼저, 대한민국의 시작, 비상, 성장, 미래를 표현하는 핸즈 코레오그라피 퍼포먼스와 전통악대 연주로 막을 올린다. 국민의례에서는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의 연주와 함께,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현지 아이를 구조한 최재영 씨가 국기에 대한 맹세문을 낭독하며 우리 사회의 따뜻한 면모를 보여준다.
이어지는 주제영상은 홍익인간 정신이 우리 삶 속에 어떻게 전통, 상상, 책임, 문화, 연대의 형태로 계승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신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를 이롭게 하는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 실천적 의미를 조명한다. 또한, 우리 민족의 뿌리와 희망을 나누는 경축공연이 펼쳐진다.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은 고려와 조선 시대 궁중 의식의 아악과 민속악을 융합한 연주곡 ‘단군신화’를 선보이며, 우리다문화어린이합창단은 ‘무지갯빛 하모니’라는 곡으로 희망과 화합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특히, 인기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OST로 사랑받은 ‘청춘가’를 퓨전국악 아티스트 추다혜 차지가 열창하며 경축 분위기를 고조시킬 예정이다.
만세삼창은 단순한 구호가 아닌, 우리 사회 곳곳에서 타인을 위한 헌신을 실천하는 인물들이 선창한다. 일본에서 인천으로 오는 비행기 안에서 뇌전증 환자를 응급 조치한 김지혜 간호사,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 금메달 수상자인 김은성 학생, 그리고 이건봉 현정회 이사장이 함께한다. 이는 개천절의 의미를 되새기며 우리 사회의 희망찬 미래를 염원하는 공동체의 의지를 다지는 시간이 될 것이다.
한편, 이번 개천절을 맞아 행정안전부는 국군의 날, 개천절, 한글날을 잇는 ’10월 나라사랑 태극기 달기 운동’을 함께 펼친다. 각 기관 누리집과 지자체 소식지를 통해 홍보하며 국민적 참여를 독려한다. 이와 더불어, 지방자치단체와 재외공관에서도 자체 경축식, 전통 제례 행사, 문화 공연 등을 개최하며 전국적으로 약 3만 8000여 명이 이번 개천절 기념 행사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러한 다층적인 기념 활동을 통해, 올해 개천절 경축식은 단순한 과거 회상을 넘어, 홍익인간 정신을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를 잇는 공동체의 연대와 화합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