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227개 목적지를 여행할 수 있는 강력한 힘을 자랑하던 미국 여권이 20년 역사상 처음으로 세계 최상위 1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2014년만 해도 부동의 1위를 차지하며 전 세계인의 부러움을 샀던 미국 여권의 이러한 추락은 단순한 순위 변동을 넘어, 국제 사회에서 미국의 영향력 변화와 여권의 실질적인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현재 미국 여권은 말레이시아와 함께 공동 12위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으며, 그동안 누려왔던 ‘최강국’의 위상에 균열이 생겼음을 보여준다.
헨리 여권지수가 20년 만에 처음으로 작성한 이번 발표에서 미국 여권의 순위 하락은 기존의 국제 질서와 여권 파워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게 만든다. 과거에는 국력과 외교력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여권의 순위가 이제는 단순히 방문 가능한 국가 수라는 양적인 지표뿐만 아니라, 각 국가 간의 복잡한 외교 관계, 비자 발급 용이성, 그리고 국제 사회에서의 신뢰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결정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미국 여권이 12위로 내려앉은 것은 앞으로 여권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기준과 국제 사회에서 국가의 위상을 가늠하는 척도가 변화하고 있음을 명백히 보여주는 신호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앞으로 미국이 국제 사회에서 영향력을 유지하고 ‘강력한 여권’으로서의 지위를 회복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에 대한 심각한 과제를 안겨준다. 단순히 방문 가능한 목적지의 수를 늘리는 것 이상의 외교적 전략 수립과 국제 사회와의 협력 강화가 필수적일 것이다. 미국 여권의 순위 하락은 국제 관계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각 국가가 자국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앞으로 헨리 여권지수를 통해 발표될 새로운 순위와 그에 대한 분석은 국제 사회의 변화하는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