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출이 2025년 3분기에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인 1850억 달러를 기록하며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다. 이는 지난 6월 이후 4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이어온 결과이며, 올해 1~9월 누적 수출액 역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5197억 달러에 달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 뒤에는 미국의 관세 조치와 보호무역주의 확산이라는 어려운 통상 환경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업통상부는 문신학 차관 주재로 수출동향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과 리스크를 면밀히 점검했다.
이번 3분기 수출 실적은 특정 품목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자동차, 바이오, 선박 등 주요 품목의 선전과 유망 산업의 성장에 힘입어 달성되었다. 특히 반도체는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AI 서버 투자 계획 상향 조정과 메모리 가격 상승에 힘입어 1~9월 누적 수출 1197억 달러라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자동차 역시 미국으로의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EU, CIS 등지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1~9월 누적 수출 541억 달러로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 외에도 화장품, 농수산식품, 전기기기 등 유망 산업 수출 역시 큰 폭으로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결과는 15대 주력 품목의 수출 비중이 지난해 78.2%에서 77.4%로 감소한 것에서 알 수 있듯, 기업들이 특정 시장이나 품목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시장 다변화와 제품 경쟁력 강화에 힘쓴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은 유가 하락의 영향을, 일반기계 수출은 미국의 철강 파생상품 관세와 글로벌 건설 경기 부진으로 인해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역별 수출에서는 중국과 미국으로의 수출이 감소한 반면, 아세안, EU, 인도, CIS 등으로의 수출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대중국 수출은 반도체와 석유화학 부진이 영향을 미쳤고, 대미국 수출은 자동차, 일반기계, 철강 등 관세 부과 품목의 감소로 전체적으로 줄어들었다. 반면, 대아세안 수출은 반도체, 철강, 선박, 자동차 부품 등의 호조로 4개월 연속 증가했으며, 대EU 수출은 자동차, 반도체, 선박, 석유제품 등이 고르게 증가하며 1~9월 누적 수출 최대치를 기록했다.
문신학 차관은 이러한 성과가 기업들의 수출 시장 다변화와 제품 경쟁력 강화 노력에 기인한다고 평가하며, 동시에 높은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경각심을 갖고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부는 불확실한 환경을 해소하기 위해 국익 최우선 원칙에 따라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진행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과 기업들의 적극적인 시장 개척 노력이 지속된다면, 향후 수출 시장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