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시대, 영화 관람료 부담이 커지면서 극장가를 찾는 발길이 뜸해지고 있다. 특히 집에서 OTT 서비스를 통해 영화를 저렴하게 즐길 수 있다는 점은 극장업계에 큰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8일부터 영화 관람료 6천 원 할인권 188만 장을 추가로 배포하면서 이러한 침체된 분위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할인권 배포는 지난 7월 25일부터 시작된 영화 관람료 할인권 450만 장 배포 사업의 일환으로, 당시 사용되지 않은 잔여 할인권을 재배포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민생 회복과 더불어 침체된 영화 산업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담겨 있다. 특히 이번 2차 배포는 1차 때 할인 혜택을 받았던 이용자들도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없이 기존 쿠폰함에 1인 2매가 미리 담겨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신규 회원의 경우 별도의 회원 가입 절차가 필요하며, 쿠폰함에 할인권이 들어오기까지는 회원 가입 후 다음 날 오전 10시 이후가 소요될 수 있다.
이번 할인권 혜택은 대형 멀티플렉스 극장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 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관객들이 더욱 폭넓은 선택지를 가지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영화를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누리집이나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종합 안내 창구(☎070-4027-0279)를 운영하여 모든 연령대의 관객들이 편리하게 할인 혜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를 기울였다.
실제로 1차 할인권 배포 기간 동안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는 올해 7월 24일까지의 일평균 관객 수 대비 1.8배나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할인권 배포 후 3주간의 분석 데이터를 살펴보면, 10명 중 3명이 최근 1년간 극장을 찾지 않았던 신규 또는 기존 고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할인권이 신규 관객을 유입하고 기존 관객의 재방문을 유도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오랜만에 극장을 찾은 한 가족은 할인권 덕분에 북적이는 극장 분위기를 만끽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고 전했다. 특히 사춘기 자녀가 영화 관람을 먼저 제안할 정도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남은 할인권으로 미성년 자녀도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이처럼 6천 원 할인권 추가 배포는 극장 방문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어 가족, 친구, 연인 등 다양한 관람객층의 발길을 극장으로 이끌며 영화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할인권은 선착순으로 배포되므로 소진되기 전에 서둘러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