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한민국은 대전환의 길목에 서 있으며, 새로운 도전이 몰아치는 격변의 시대를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5000만 국민과 700만 재외동포가 하나로 뭉쳐 위기를 극복하고 더 큰 도약을 이루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2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제19회 ‘세계한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이같이 밝히며, 세계 각지에 거주하는 700만 재외동포가 대한민국의 영광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기념식은 대한민국 국민과 재외동포가 오랜 역사 속에서 서로를 잇고 지켜온 끈끈한 유대감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이 대통령은 위기 앞에서도 단단히 뭉치고 늘 강인함을 보여준 국민과 동포들의 저력을 높이 평가하며, 이러한 하나 된 마음이 위기 극복과 더 큰 도약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해외 거주 국민과 동포들의 권익과 안전을 지키는 데 더욱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특히 차세대 동포들이 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 문화, 네트워크 형성을 포함한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더불어 동포사회가 오랫동안 염원해 온 복수국적 연령 하향 문제에 대해서도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바탕으로 지혜를 모아 해결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재외동포의 참정권 보장을 위한 선거 투표 환경 개선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가까운 곳에서 대한민국 주권을 쉽게 행사할 수 있도록 최대한 신속하게 조치를 강구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더 나아가 영사가 단순 민원 처리를 넘어, 현지 교민들의 충심이 제대로 조직되고 발휘될 수 있도록 영사 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재편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무수한 역경을 기회로 바꾸어 온 동포들을 ‘조국의 미래를 밝히는 등불’이라고 칭하며, 대한민국이 더 자유롭고 평화로운 세계를 향해 동포들과 손잡고 함께 나아가겠다고 선언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권홍래 한국브라질장학회 고문을 포함한 91명의 유공 동포 중 6명에게 직접 정부포상이 수여되었으며, 뮤지컬 배우 최정원과 광주 고려인마을에서 창단된 고려인어린이합창단의 ‘내 나라 대한’ 합창이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이 노래는 해외에서도 변치 않는 조국 사랑과 민족 정체성의 뿌리를 노래하며 세대를 잇는 애국심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기념식은 전 세계의 빛이 대한민국으로 결집되는 퍼포먼스로 마무리되며, 재외동포와 모국이 이어지는 연결과 미래 도약의 메시지를 강력하게 전달했다. 매년 10월 5일, 법정기념일로 제정된 ‘세계한인의 날’은 재외동포의 공헌을 기리고 모국과의 유대 강화를 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