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독서의 날을 맞아 개최된 ‘2025 출판산업포럼’은 인공지능(AI)이라는 첨단 기술이 전통적인 출판 산업과 만나 만들어낼 미래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펼쳤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진보 논의 이면에 자리 잡은 근본적인 문제는, 기술 발전 속에서 출판의 본질이 희석되고 인간 고유의 창작 영역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였다. 특히 AI가 텍스트를 자동 생성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이 제시되는 가운데, 과연 인간의 감성과 경험을 담은 글쓰기가 설 자리를 잃게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포럼 전반에 깔려 있었다.
이러한 불안감에 대한 명쾌한 해답은 ‘AI와 출판, 상상 그 이상의 미래’라는 주제로 진행된 포럼의 핵심 발표들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전문가들은 AI를 단순한 대체 기술이 아닌, 출판 산업이 새로운 시장을 열어가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AI는 텍스트 생성이나 편집 과정의 효율화를 돕고, 데이터 기반의 독자 분석을 통해 맞춤형 출판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출판 업계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현실적인 솔루션으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기술적 솔루션에도 불구하고, 포럼에서 가장 깊은 공감을 얻었던 것은 바로 ‘인간만이 쓸 수 있는 글’의 가치였다. AI가 초고 작성이나 자료 정리 등 일련의 작업을 보조할 수는 있지만, 독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깊이 있는 이야기와 감동은 인간만이 고유하게 지닌 경험과 감정을 통해 탄생한다. 글 속에 담긴 따뜻한 온기와 섬세한 맥락은 기계가 흉내 낼 수 없는 영역이며, 이는 글을 쓰는 사람과 읽는 사람 사이의 교감을 가능하게 하는 출판의 본질이다.
이번 포럼은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많은 사람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더했다. 유튜브 실시간 채팅창을 통해 참가자들의 열띤 반응과 키워드 공유가 이어졌고, 발표 내용을 다시 돌려보고 강의 자료를 활용하는 등 온라인 참여만의 장점은 오히려 몰입도를 높였다. 이는 기술 발전이 소통과 참여의 방식을 확장하여 출판 산업의 저변을 넓힐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결론적으로, ‘2025 출판산업포럼’은 AI 시대를 맞아 출판이 맞닥뜨린 위기와 기회를 양분법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넘어, 인간과 기술이 협력하여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다는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다. AI의 효율성과 인간 고유의 창의성이 만난다면, 우리는 더욱 풍부하고 감동적인 이야기를 더 많은 독자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곧 출판의 미래가 단순히 기술 혁신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적인 이야기의 본질을 지켜내고 확장하는 과정에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며, AI 시대에도 여전히 살아 숨 쉬는 ‘글쓰기의 힘’을 확인하는 소중한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