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9%로, 지난 7월 발표보다 0.1%p 높였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8%로 유지되었으며, 이는 한국 경제가 잠재 성장 수준으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한다. 이러한 전망은 전반적인 세계 경제 상황과 주요국의 경제 정책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하며, 이는 7월 전망보다 0.2%p 상향된 수치다. 이러한 세계 경제 성장률 상향 조정에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은 3.1%로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 역시 1.6%로 0.1%p 상향 조정되었으며, 내년 역시 1.6%로 전망되었다. 특히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성장률이 각각 2.0%, 2.1%로 0.1%p씩 상향 조정되었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4.2%로 0.1%p 높아졌으며, 내년은 4.0%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4.8%, 4.2%를 유지했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주요 하방 요인으로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반면,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화,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은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