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문화 시장에서 한국 콘텐츠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새로운 차원의 한류 현상을 보여주며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케데헌’의 성공 뒤에는 한국이 직접 제작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문화가 로컬 문화를 전용한 또 다른 사례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케데헌’은 기존 한류 현상의 이해를 넘어, 한국 문화 산업이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케데헌’이 글로벌 문화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첫째,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 자체가 가진 강점이다. 소니의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 기술을 활용한 역동적인 캐릭터 구현과 더불어, 제작진은 적극적인 시청자 참여를 유도하는 텍스트 전략, 디테일이 살아있는 일러스트레이션, 그리고 케이팝이 지닌 본연의 힘을 효과적으로 결합했다. 특히 애니메이션이라는 표현 양식은 비서구인의 몸에 대한 고정관념을 벗어나, 인종주의적 복잡함 없이 전 세계 시청자가 몰입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는 플레이브나 이세계 아이돌과 같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의 해외 투어 성공에서도 알 수 있듯이, 케이팝 문화 속에서 캐릭터 문화가 한층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둘째, ‘케데헌’은 K팝 문화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세계관’ 즉, 그룹의 서사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이는 비슷한 형태의 K팝 그룹들 사이에서 변별적인 정체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팬들이 해독해야 할 텍스트를 풍부하게 만들어 적극적인 팬 활동을 유도한다. 가치 지향성이 중요해진 현대 글로벌 문화 환경에서, ‘케데헌’은 인간세계를 보호하려는 이중 정체성을 지닌 주인공들이 등장하는 인간적이고 공동체적인 세계관 속 걸그룹과 보이그룹의 이야기를 선보이며, 디즈니의 공주 이야기, 일본 애니메이션의 성장 스토리, DC와 마블의 우주 대전쟁 서사와는 차별화된 이국적이고 매력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셋째, ‘케데헌’은 수많은 프리퀄과 시퀄로 확장 가능한 개방된 서사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동시대적으로는 헌터스들의 세계 투어 중 로컬 귀마들과 싸우는 스토리를 통해 무궁무진한 로컬 버전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더 나아가, ‘케데헌’은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그들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새로운 서사 자원의 존재를 부각시킨다. 북미 한인 2세 제작자들의 독특한 한국 문화 경험과 애정이 녹아든 ‘케데헌’은 글로벌 시장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 중재(mediation)’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은 한국인의 경험으로 세계사를 품을 수 있는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만들어냈으며, 이는 한류를 넘어 한국의 미래와 한인 디아스포라의 연결성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이처럼 ‘케데헌’은 단순히 K팝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을 넘어, 글로벌 문화가 로컬을 전용하는 방식과 한국인 디아스포라가 가진 풍부한 서사적 잠재력을 일깨우며 새로운 세계로의 문을 열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앞으로 한국 문화 콘텐츠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 홍석경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장은 한류 연구자로서 기호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세상 속 의미 생산을 탐구하고 있다. 그는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 ‘드라마의 모든 것’, ‘BTS 길 위에서’ 등을 출판했으며, 넷플릭스의 영향, 한국 문화 산업, 한류 현상의 이론화를 위해 다년간 연구를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