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한글이 단순한 문자를 넘어 K-문화의 강력한 원천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이를 전 세계에 더욱 널리 알리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가 확고해지고 있다. 현재 세계 87개국에 설치된 세종학당에는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고 있으며, 이는 한글이 더 이상 한국만의 전유물이 아님을 증명한다. 그러나 여전히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접하고 그 가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몇 가지 풀어야 할 숙제가 남아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K-문화의 근간이 되는 한글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한글을 더욱 발전시키고 세계화하기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 방침을 발표했다. 김 총리는 한글이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명확히 알려진 세계 유일의 문자로, 인류의 가장 빛나는 지적 성취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음을 언급하며 그 위대함을 역설했다. 특히, 한글이 문자로서의 우수성을 넘어 백성을 향한 사랑과 혁신의 정신에서 탄생했음을 훈민정음 머리글을 인용하여 설명하며, 세종대왕의 숭고한 뜻을 되새겼다.
이는 유네스코가 문맹 퇴치 공로자에게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수여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한글에 담긴 인류애를 높이 평가하는 국제사회의 시선을 반영한다. 또한,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목숨을 걸고 우리 말과 글을 지켜낸 선조들의 헌신적인 노력을 기억해야 함을 강조하며, 한글이 민족 정신의 버팀목 역할을 해왔음을 분명히 했다.
오늘날 케이팝의 노랫말,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풍부한 표현력은 우리 말과 글의 섬세함 덕분에 전 세계 팬들과 감동을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유튜브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즐기는 세계 청년들의 모습은 이러한 현상의 단적인 예이다. 이러한 흐름을 더욱 가속화하기 위해 정부는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에 나설 계획이다.
더불어, 정부는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여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기회를 제공하고, 한글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이는 한글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동시에,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한국어 기반 언어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는 미래지향적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나아가, 다가오는 APEC에서는 ‘초격차 K-APEC’을 목표로 삼아 한글을 비롯한 한국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을 통해 한글은 그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며 세계 속에서 더욱 빛나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