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명절을 앞두고 고액의 자금을 이체해야 하는 상황에서 은행 창구를 찾은 고객들은 이전과는 확연히 달라진 절차에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최근 어르신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급증함에 따라, 은행권 전체가 공동으로 강화된 문진 제도 및 예방 조치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고객의 소중한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풀이된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가 급증하면서 전 은행권은 창구를 이용해 고액 인출·이체 거래를 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홍보 동영상 시청을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실제 발생한 최신 보이스피싱 사례를 구체적으로 안내하며 고객들의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실제 한 은행에서는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전담 창구를 설치하는 등 그 심각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강화된 절차는 고객들에게 다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은행 직원들은 “점점 내 돈 찾기도 힘들어진다”는 고객들의 볼멘소리에 대해 “요즘 보이스 피싱이 점점 더 지능화되고 피해 금액도 계속 커지고 있다”며, “조금 불편하시더라도 고객님의 소중한 자금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함”이라고 재차 설명하며 고객의 이해를 구하고 있다.
최근 금융권에서 전송된 안내문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1월~7월) 보이스피싱 및 문자 결제 사기 범죄 피해액은 7,99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월에는 월별 피해액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인 1,345억 원을 기록하며, 보이스피싱 범죄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수칙은 의심되는 링크를 절대 클릭하지 않는 것이다. 만약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전화를 받았다면, ‘보이스 피싱 의심하Go, 주저 없이 전화 끊Go, 해당 기관(또는 자녀)에 확인하Go’라는 금융감독원의 캠페인을 기억해야 한다. 발신 번호는 금융사기 통합 신고 대응센터(1566-1188)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112에 신고하면 경찰과 즉시 연결된다. 또한, 악성 앱을 설치했다면 경찰서를 방문하여 전용 제거 앱을 받을 수 있다.
한편, 금융감독원에서는 국민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및 구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보이스 피싱 정책, 홍보 아이디어’ 공모전을 9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실시한다. 이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실질적인 예방 및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다각적인 대응 노력들이 모여 점차 보이스피싱 범죄로부터 안전한 금융 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