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의 광범위한 마비 사태가 발생하며 국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추석 연휴를 앞두고 필수 행정 서비스마저 차질을 빚으면서, 긴급 복구와 대체 서비스 마련에 정부의 총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문제는 국가 정보 인프라의 취약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9월 30일,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심도 있게 점검했으며,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 시스템이 복구되어 서비스가 재개되었으나,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앞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으로서, 정부는 복구 속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와 국가 기록물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기록포털이 복구되어 긴급 재난 관리 및 기록물 접근에 숨통이 트였다. 또한,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불편을 겪었던 시민들을 위해 과거 사용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상담 서비스를 재개했다. 복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을 현장에 투입했으며, 예비비까지 투입하여 복구 속도를 최대한 끌어올릴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복구된 시스템과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 등을 통해 수시로 갱신하여 안내하고 있으며, 시스템이 정상화될 때까지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여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러한 복구 노력과 대체 서비스 마련이 성공적으로 적용될 경우,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이 조속히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호중 장관은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으며, 나아가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여 유사한 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고 국가 정보 인프라의 안정성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는 이번 화재 사태를 계기로 국가 핵심 정보 시스템의 보안 및 복원력 강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다 견고한 디지털 행정 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전망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