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이스 피싱 등 각종 금융 사기 범죄가 심각한 수준으로 증가하면서 은행권이 고객의 소중한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강화된 절차를 도입하고 있다. 추석을 앞두고 목돈 이체를 위해 은행을 방문한 시민들의 경험에 따르면, 과거와 달리 고액 이체 및 인출 시 절차가 훨씬 까다로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히 은행 업무가 불편해진 것을 넘어, 급증하는 보이스 피싱 범죄로부터 금융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분석된다.
은행 창구를 통해 고액을 인출하거나 이체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보이스 피싱 피해 예방 홍보 동영상 시청이 필수로 지정되었다. 이와 더불어 실제 발생한 보이스 피싱 최신 사례도 함께 안내하며 고객들이 범죄 수법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최근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 피싱 사례가 급증하고, 범죄가 점점 더 지능화되며 피해 금액 또한 계속 커지고 있다는 은행 직원의 설명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는 이러한 보이스 피싱 예방 동영상을 다시 시청할 수 있으며, 신종 금융사기 유형 및 예방 방법, 피해 구제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금융권의 보이스 피싱 관련 안내문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1월~7월) 보이스 피싱 및 문자 결제 사기 범죄 피해액은 7,992억 원에 달하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특히 7월에는 월별 피해액 기준으로 역대 최대인 1,345억 원을 기록하며 그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금융 당국과 은행권은 고객의 금융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 은행에서는 보이스 피싱 등 금융사기 전담창구까지 설치하며 대응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금융 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수칙은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와 링크를 무심코 클릭하지 않는 것이다. 만약 의심스러운 전화나 문자를 받을 경우, ‘보이스 피싱 의심하Go, 주저 없이 전화 끊Go, 해당 기관(또는 자녀)에 확인하Go’라는 금융감독원의 캠페인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금전 선입금을 요구하는 경우는 무조건 의심해야 하며, 즉시 가족이나 관련 기관에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발신 번호의 신고 이력은 금융사기 통합 신고 대응센터(1566-1188)를 통해 24시간 확인 가능하며, 112에 신고해도 즉시 연결된다. 악성 앱을 설치한 경우, 경찰서를 방문하여 전용 제거 앱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대응 체계는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방어선이며, 사전에 정보를 공유하고 확인하는 절차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금융감독원은 이러한 보이스 피싱 범죄 예방 및 구제 방안 마련을 위해 ‘보이스 피싱 정책, 홍보 아이디어’ 공모전을 9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실시한다. 이번 공모전은 보이스 피싱 피해 예방 및 구제 관련 신규 제도 제안, 현행 제도 개선 방안, 빅데이터, AI, FDS 활용 등 탐지 기법 개발, 보이스 피싱 예방 홍보 영상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진행되며, 총상금 1,600만 원이 지급된다. 이는 금융 소비자 보호 강화와 사기 범죄 근절을 위한 정책적 노력의 일환으로, 성공적인 예방책 마련과 국민적 공감대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