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우리 문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가운데,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확산하고자 하는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며 주목받고 있다. 이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국내 대표 문학 행사를 아우르는 통합 행사로서, 단순한 문학 향유를 넘어 문학을 통해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에 다가가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번 축제가 기획된 배경에는 문학이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겪고 있는 단절과 고립,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깊은 성찰이 깔려 있다. ‘2025 문학주간’은 ‘도움―닿기’라는 주제를 내걸고, 문학이 우리 삶의 균열을 비추고 서로의 삶에 닿을 수 있는 ‘작은 구름판’이 되기를 희망했다. 이는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댐으로써 함께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자는 메시지를 통해, 현대인이 겪는 소외감과 어려움을 문학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25 문학축제’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문학의 확장된 가능성을 제시한다. ‘문학주간 2025’의 주제 스테이지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에서는 작가들의 생생한 경험담을 통해 글쓰기가 단순한 기술이 아닌 ‘자기 고백이자 용기’라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와 같은 발언들은 문학의 본질적인 깊이를 탐구하게 한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압박감을 완화하며, 글을 쓰는 행위가 ‘자기 울타리를 넘어 다른 세계와 만나는 통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러한 강연들은 글을 쓰는 사람들에게는 영감을, 독자들에게는 문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는 깊은 울림을 주었다.
한편, 야외 프로그램의 일부가 비로 인해 취소되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와 같은 체험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에게 소소한 즐거움과 오래도록 기억될 추억을 선사했다. 이는 문학이 딱딱한 텍스트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생활 속 문화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과 전국 각지의 도서관, 서점, 문학관에서 동시에 펼쳐지는 다채로운 행사들을 통해 ‘생활 속 문학축제’로서의 의미를 더하고 있다.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국내외 작가 초청 행사, 토크,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폭넓은 문화 일정이 전국적으로 이어지며, ‘2025 고양독서대전’과 같은 지역 행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캠페인과 연계된 이번 문학축제는 9월 말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는 문학이 책장 속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읽고 만나고 쓰며 즐길 때 더 큰 사회적, 정서적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한다. 궁극적으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더 많은 시민이 문학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며 건강한 사회적 연대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