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활용해 도시 정체성을 높이고 시민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문화도시’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그 본질적인 의미와 실제 성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단순한 문화 행사 개최를 넘어 지역 특산품 개발이나 유휴 공간 활용 등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는 문화도시의 역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서,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저조한 상황이다. 실제로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의 경우, 지역을 대표할 만한 뚜렷한 이미지가 부재하고 시민들조차 지역에서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팽배한 실정이다. 더 나아가, 문화도시 선정 사실 자체가 지역 사회에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사업의 존재감마저 희미한 문제점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025 문화도시 박람회에 참석한 37개의 문화도시들은 각자의 사업 추진 사례를 공유하며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했다. 대구 달성군은 문화활동가 양성, 달성문화교실, 청년축제 ‘위터스플래쉬’ 등 세대별 맞춤 사업을 통해 지속 가능한 문화 생태계를 구축하고 시민 주도의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들락날락 매거진’을 통해 타 지역보다 다양한 소재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알리고, 방문객 참여를 유도하는 포춘쿠키 이벤트와 같은 실속 있는 행사로 지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경북 칠곡군은 ‘칠곡로컬팜투어’, ‘우리동네 문화카페’, ‘주민기획 프로그램’ 등 인문학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과 ‘칠곡 인문학 마을 축제’를 통해 주민들이 함께 어울리며 인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10월 18일부터 19일까지 개최될 ‘칠곡 문화거리 페스타’를 통해 주민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는 축제 분위기를 조성할 계획이다. 포럼에서는 밀양, 속초 등 각지에서 활동하는 관계자들이 <문화로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주제로 현장 이야기를 공유하며, 문화도시 사업이 인구 유출, 감소, 지역 소멸과 같은 근본적인 지역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문화도시 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지역 고유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청년 유출과 지역 소멸이라는 심각한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이 제4차 문화도시로서 발돋움하는 과정에서 청년 축제와 같은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전통문화 체험, 역사 중심의 문화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화도시 사업의 성과는 시민들의 작은 관심과 방문, 그리고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유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될 것이다. 2025 문화도시 박람회에서 보여준 각 도시의 구체적인 노력과 시민들의 기대는 앞으로 문화도시 사업이 지역 발전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2026년 박람회에서는 달성군과 칠곡군을 포함한 모든 문화도시들의 더욱 발전된 모습이 기대된다.